VOA "한국 영문본과 달리 '종전선언 연내 합의' 북한의 해석 명문화"
文대통령보다 김정은 먼저 적고, 확성기 중지 문장도 北번역 '판박이'
 

지난 6일 남북이 공동으로 유엔에 제출한 판문점 선언의 영문본이 '연내(年內) 종전 선언 합의'를 명문화해 "한국보다 북한의 해석에 더 가깝다"는 주장이 12일 제기됐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이날 유엔에 제출된 판문점 선언 영문본과 4·27 남북 정상회담 당시 우리 정부와 북한 당국이 각각 공개했던 영문 번역본을 비교해서 이렇게 주장했다.

판문점 선언 3조 3항은 '남과 북은 올해에 종전을 선언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며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 회담 개최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는 내용이다. 4·27 남북 정상회담 당시 우리 정부는 이를 영어로 옮기면서 '정전협정 65주년이 되는 올해에(during this year), 남과 북은 종전을 선언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며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 체제를 구축하려는 목적을 갖고(with a view to)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 회담을 적극 추진하는 데 합의했다(agreed to actively pursue)'고 번역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유엔에 남북 공동으로 제출된 판문점 선언 영문본에는 '종전 선언 등을 적극 추진하는 데 합의했다'는 표현이 '올해 종전을 선언하는 데 합의하고(agreed to declare the end of war this year)'로 바뀌어 있다. VOA는 이런 유엔 제출본 내용이 지난 4월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북한의 영문 번역에 더 가깝다고 분석했다. 당시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북측 영문본은 '북과 남은 올해 종전을 선언하는 데 합의하고(agreed to declare the end of war this year)'로 시작하고 있어, 유엔에 제출된 영문본과 표현이 정확히 일치한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유엔에 제출된 판문점 선언 영문본은 남북이 합의한 국문본에 충실한 번역본"이라고 밝혔다.

이날 본지가 유엔 제출 영문본을 분석해 본 결과, 북한의 주장이 크게 반영된 부분도 적지 않았다. 우선 판문점 선언 당시 우리 측은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을 먼저 쓰고, 북한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먼저 썼다. 그런데 유엔에 제출된 판문점 선언 영문본은 'Kim Jong Un, Chairman…'으로 시작해 김정은의 이름과 직함이 제일 먼저 등장했다. 또 철도·도로 연결에 대한 1조 6항과 2조 1항 중 확성기 방송과 전단 살포 중지 결정을 담은 문장도 북한이 번역한 것이 거의 그대로 유엔 제출본에 실렸다.

한편 정부가 11일 제출한 판문점 선언 비준 동의안에 담긴 비용 추계서가 11년 전 작성한 문서와 비슷하다는 점도 논란이 되고 있다. 노무현 정부는 지난 2007년 11월 '10·4 남북 공동선언 이행에 관한 제1차 남북 총리 회담 합의서'에 대한 비준 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당시 정부는 비용 추계서 3장에 재원 조달 계획서 1장을 첨부했는데, 이번에 제출한 비용 추계서와 양식·분량이 같다. '북측 지역에 대한 현지 조사, 분야별 남북 간 세부 합의 등을 통해 재정 지원 방안 마련 이전까지는 연도별 비용 추계가 현실적으로 곤란' 등 정확히 같은 표현도 일부 담겼다. 야권 관계자는 "국회에 비준 동의를 강조해 놓고, 11년 전 문서에서 숫자만 일부 바꾼 건 너무하다"고 했다.

야당은 2007년 10·4 선언 합의문에 대해 국회 동의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했던 법제처가 입장을 바꾼 것도 문제라고 지적한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3/2018091300334.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