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 인사들이 6.25 당시 북한 지역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 55구를 오는 27일 돌려받기 위해 조만간 한국을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고 미 CNN이 2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그러나 미국의 기대와 달리 북한은 아직 미국과 한국에 유해 송환 관련 일정이나 세부 계획 등을 확정하지 않은 상태라 유해 송환이 제때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조선DB

워싱턴포스트(WP)도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평양을 방문했지만 북한은 유해 송환과 관련해 아무런 세부 계획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미·북은 지난 15일 판문점에서 장성급 회담을 열고 미군 유해를 정전 협정 65주년이 되는 오는 27일 판문점을 통해 송환하기로 의견 접근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6.12 싱가포르 회담에서 미군 유해 송환을 약속했다. 미 국방부에 따르면 현재 한국전쟁 미군 실종자 7697명 가운데 5300명의 유해가 북한에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유해의 신원을 파악하기 위한 DNA 검사는 약 한 달이 걸린다. 미국은 유해가 북한 어느 지역에서 송환되는지 보안상의 이유를 들어 밝히지 않았다. 북한 심기를 거스르면 유해 송환 가능성이 줄어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유해 송환이 이뤄진다면 북한에서 유해를 처음 받는 미국 측 인사는 유해 사진을 찍는 등 간단한 확인작업한 할 수 있다. 이후 오산 공군기지로 돌아와 미국 법의학 전문가들이 자세한 조사를 하게 된다. 이 과정에는 최대 5일이 소요된다.

북한이 유해 송환을 ‘협상 카드’로 쓰며 막대한 금액을 요구를 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왔다. 로이터 통신은 “북한의 현금보상 요구와 북한 비핵화를 둘러싼 미·북 간 긴장감이 유해 송환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2007년 4월 미군 유해를 송환받았던 빌 리처드슨 당시 뉴멕시코주 주지사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유해 송환을 ‘협상 카드’로 쓰고 있다”며 “유해 송환을 빌미로 상당한 금액을 요구할 수 있다”고 했다.

유해 송환을 담당하고 있는 미 국방부 산하 전쟁 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 관계자는 “미 정부는 미군 유해 송환 대가로 (북한에) 돈을 지급하지 않는다”는 입장은 내놓은 바 있다. 유해 송환에 막대한 비용을 댈 경우 대북 제재 위반 등 문제도 따른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25/2018072500693.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