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는 유엔 안보리서 '일부 대북제재 면제' 언급
 

작년 10월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어기고 북한산 석탄 9156t을 국내 반입한 의혹을 받는 제3국 선박 두 척과 관련, 청와대와 정부가 사건 직후 그 내용을 보고받고도 4개월 넘게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외교부는 이날 '작년 10월 '스카이 엔젤'호와 '리치 글로리'호의 북한산 석탄 반입 정보 입수 후 청와대에 보고했느냐'는 바른미래당 정병국 의원실 질의에 "(10월) 입항 전후 관련 의혹을 인지한 직후부터 신속하게 내부 보고가 이뤄졌다"고 답변했다. 파나마 선적 화물선인 스카이 엔젤호와 시에라리온 선적의 리치 글로리호는 작년 10월 러시아 홀름스크항 부두에서 각각 실어온 석탄 4156t, 5000t을 인천·포항에 하역했다. 러시아산으로 표기된 이 석탄은 국내 업체에 수입됐다. 외교부가 당시 북한산 석탄일 가능성이 크다는 정보를 입수한 뒤 강경화 장관과 청와대에 즉각 보고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 선박들은 이후 최근까지 총 32차례 우리 항구를 드나들었다. 하지만 정부는 올 2월 입항 때까지 선박 검색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크게보기
강경화(오른쪽) 외교부 장관과 마이크 폼페이오(가운데) 미 국무장관이 지난 20일(현지 시각) 뉴욕 유엔 주재 대한민국 대표부에서 한반도 정세 관련 공동 브리핑에 앞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왼쪽은 니키 헤일리 주유엔 미국 대사. /AFP 연합뉴스
이를 두고 미국 등 국제사회에서는 우리 정부의 대북 제재 이행이 허술하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미 국무부는 제재 이행 위반 주체에 대한 독자 제재를 언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강경화 장관은 지난 20일(현지 시각) 뉴욕에서 유엔 안보리 15개 이사국을 대상으로 한 비공개 브리핑에서 "북한과 대화·협력을 위해 필요한 부분에 한해 제재 면제가 필요하다"며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이 4·27 판문점 선언상의 남북 협력사업을 이행하는 데 필요한 경우 '제재 예외'를 인정해 달라고 한 것이다.

강경화 외교장관은 지난 17~19일 영국 런던 방문 후 바로 뉴욕으로 이동했다. 외교부는 강 장관의 런던행 직전까지 뉴욕 일정을 보안에 부쳤고, 20일 주유엔 한국대표부에서 열린 안보리 이사국 대상 브리핑도 비공개로 진행했다.

제재 면제로 '남북 협력' 속도 내려는 韓

강 장관은 이날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의 안보리 이사국 대상 공동 비공개 브리핑에서 "북한의 실질적 비핵화 조치 전까지 대북 제재는 유지된다"면서도 일시적 대북 제재 면제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공동 브리핑에 앞서 폼페이오 장관과의 회담 때도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협조를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판문점 선언 후속조치로서 (제재) 예외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며 "북측과 대화·협력을 이끌어 나가는 데 있어 제재 틀 안에서 예외를 인정해달라는 것"이라고 했다.

정부의 일시적 제재 완화 요청으로 인해 북한 의도대로 대북 제재에 구멍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앞서 올 1~2월 마식령 스키장 남북 합동 훈련, 최휘 북한 국가체육지도위원장 초청을 시작으로 이달까지 최소 7차례 이상 미국이나 유엔 안보리에 대북 제재의 일시 면제를 요청해 승인받았다. 최근에는 안보리에서 남북 군 통신선 복원을 위한 제재 예외를 인정받았고,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와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개보수 공사를 위한 대북 물자 반출 문제도 논의 중이다.

러, 제재 완화 움직임… 美 "추가 제재해야"

최근 대북 제재를 둘러싸고 유엔 안보리 내에서는 중국과 러시아가 '제재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최근 러시아 내 북한 노동자의 노동 허가 기간을 내년 12월까지 연장할 수 있도록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북한 노동자 최대 3200명이 노동 허가를 연장할 것으로 보인다. 작년 9월 채택된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 2375호에 따르면 북한 노동자에게 신규 노동 허가서를 발급하는 것은 금지 사항이다. 안보리 결의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제재 풀기에 나선 셈이다. 지난달에는 중·러가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완화를 요구하는 내용의 언론 성명 초안을 안보리 이사국에 배포했다가 미국 반대로 폐기됐다.

미국과 유럽은 '비핵화 조치가 우선'이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20일 공동 브리핑 후 기자회견에서 "엄격한 제재는 북한의 FFVD(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하다"며 "모든 유엔 회원국은 만장일치로 대북 제재를 철저히 이행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니키 헤일리 주유엔 미국 대사는 "지금 당면한 문제는 우리 친구 중 일부가 룰(제재)을 우회하길 원한다는 점"이라며 중국과 러시아를 거론했다. 그는 "어떤 나라가 제재 해제나 완화를 원하고 있다"고도 했다.

외교 소식통은 "북한산 석탄을 실은 선박을 사실상 방치하고, 남북 협력 사업을 구실로 대북 제재 면제를 주장하는 우 리 정부도 미국의 이 같은 지적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했다. 실제 미국 내에선 "추가 제재를 통해 대북 압박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미 상원 외교위 소속인 벤 카딘 민주당 의원은 VOA(미국의소리) 방송에 "싱가포르 회담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현재까지 나타난 바로는 대북 제재 강화 외에 다른 방도는 없어 보인다"고 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23/2018072300160.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