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北정상회담 D-1]
싱가포르까지 어떻게 왔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10일 오후 2시 36분(한국 시각 3시 36분)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 소속 보잉 747기를 타고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도착했다. 4·27 남북 정상회담 때처럼 인민복 차림에 안경을 쓴 김정은은 일반인은 접근 불가능한 VIP 통로로 입국했다. 김영철 통일전선부장, 리수용 국제부장, 리용호 외무상,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 등이 수행했다. 김정은은 자신을 영접하러 온 비비안 발라크리슈난 싱가포르 외무장관과 웃으며 악수했다. 번호판 없는 검은색 벤츠 리무진 차량에 탄 김정은은 20대 넘는 경호·의전 차량의 호위를 받으며 공항을 빠져나갔다. 전 세계 취재진 3000여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국제 무대에 데뷔한 것이다. 2012년 집권 이후 김정은이 한국(판문점 남측 지역)과 중국 외 다른 나라를 방문한 것은 처음이다. 또한 북한 최고 지도자가 중국·러시아를 제외한 다른 나라를 방문한 것은 1984년 김일성의 동유럽 순방 이후 34년 만이다.

◇北, '전용기 체면' 대신 '김정은 안전'

김정은의 싱가포르행은 한 편의 첩보 영화 같았다. 북한은 항공기 3대를 차례로 띄웠는데 김정은이 탄 항공기 정보와 동선을 노출하지 않기 위한 차원으로 보인다. 이날 새벽 평양 순안공항에서는 IL(일류신)-76 수송기가 이륙한 데 이어 오전 8시 30분쯤 보잉 747기, 9시 30분쯤 김정은 전용기 '참매 1호'가 각각 싱가포르로 출발했다. 보잉 747기는 시진핑 국가주석 등 중국 최고위급이 타던 전용기다. 김정은은 실제 이 항공기에 탔지만 창이공항 도착 순간까지 탑승편은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다.
 
트럼프 미 대통령과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0일 오후 2시 36분(현지 시각)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 소속 보잉 747기편으로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도착했다.
트럼프 미 대통령과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0일 오후 2시 36분(현지 시각)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 소속 보잉 747기편으로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도착했다. 오른쪽부터 김정은, 통역을 맡은 김주성, 김영철 통일전선부장, 리수용 노동당 국제부장, 리용호 외무상. /연합뉴스

 
10일 김정은 싱가포르행에 동원된 항공기

보잉 747기는 평양 이륙 후 얼마 되지 않아 목적지를 베이징으로 공개했다. 그러나 한 시간쯤 뒤 중국 상공에서 돌연 편명을 CA122에서 CA61로 바꾸고 싱가포르 방향으로 선회했다. 목적지도 싱가포르로 달라졌다. 싱가포르 현지의 외교 소식통은 "치밀한 연막작전을 펼 만큼 북한 내부의 긴장감이 컸던 것으로 안다"고 했다. 뒤이어 싱가포르로 향한 참매 1호는 김정은의 동선 노출을 막는 '예비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노후 기종인 참매 1호에는 김정은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과 정상회담 지원 인력 일부가 탑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측은 김정은 항공편으로 '체면'보다는 '안전'을 우선 고려해 보잉 747기를 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전용기인 '에어포스 원'도 보잉 747 기종인 만큼 트럼프와 격을 맞췄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가장 먼저 싱가포르에 도착한 IL-76 수송기에는 김정은을 위한 특수 방탄차량, 이동식 화장실 등이 실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동식 화장실 공수는 김정은의 건강 정보를 노출하지 않기 위한 차원이다.

◇숙소는 트럼프 묵는 호텔과 570m 거리

김정은은 이날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와 회담에 앞서 숙소인 세인트레지스 호텔로 이동했다. 2015년 11월 시진핑 주석과 마잉주 당시 대만 총통의 첫 양안 정상회담 때 시 주석의 숙소로도 쓰인 호텔이었다. 세인트레지스 호 텔은 출입구가 두 개밖에 없어 보안에 유리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숙소인 샹그릴라 호텔과는 직선거리로 불과 570m 떨어져 있다. 도보 10분 거리다. 김정은은 11일 출입이 철저히 통제된 호텔 VIP 룸에 머무를 예정이다. 판문점에서 싱가포르로 이어져 진행된 미국과의 실무 협의 결과를 보고받으며 다음 날 트럼프 대통령과의 '담판'을 준비할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11/2018061100158.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