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예정된 미·북 정상회담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참석할 가능성이 워싱턴 안팎에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NHK, 마이니치 신문 등에 따르면, 빅토리아 코츠(Victoria Coates)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제협상담당 선임부장은 10일(현지 시각)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북 정상회담이 열리는 싱가포르 현지에 제3국 정상이 참석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코츠 부장은 구체적인 답변은 피하면서도, 시 주석과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 달 12일 싱가포르에 건너갈 가능성이 있다고도 덧붙였다.

코츠 부장은 트럼프·김정은 회담이 3자 혹은 4자 회담으로 바뀔 가능성에 대해서는 답변을 피했다. 중국 전문가들과 매체들이 북핵 문제 해결 과정에서 중국이 배제되는 상황에 대해 경계심을 드러내는 가운데, 시 주석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8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중국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의 회담장에서 웃으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조선일보 DB

중국은 미·북 담판을 앞둔 물밑 협상 과정에서 중국의 국익을 관철하겠다는 메시지를 여러 차례 내비쳤다. 중국 역시 1953년 정전협정 서명국이기 때문에 중국의 참여 없이는 남북과 미국이 정전 상태를 평화협정으로 전환해 전쟁을 종식할 수 없다는 게 중국 측의 입장이다.

그동안 쌍중단(雙中斷·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과 쌍궤병행(雙軌竝行·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미·북 평화협정 협상)을 한반도 비핵화 해법으로 제시해 온 중국이 미·북 회담 중 어떤 카드를 제시할지도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지난 2일 취임사에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CVID)’에 ‘영구적(permanent)’이란 용어를 새로 추가한 ‘PVID’를 언급해 비핵화 기준을 높이자 미·북 회담 물밑 협상 과정에서 시 주석의 존재감이 부쩍 늘어나는 추세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이달 초 북한의 핵무기뿐만 아니라 생화학무기 등 대량살상무기의 영구적 폐기를 요구함에 따라 미국의 대북 압박이 커졌다.

이러한 맥 락에서 중국 외교부는 지난 9일 다롄에서 열린 북중 정상회담이 북한의 요청에 따라 성사됐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이 압박을 느끼는 와중에 중국 측이 적극적으로 ‘방패막이’ 역할을 해주는 모양새다.

이와 관련, 백악관은 10일 미·북 정상회담의 목표를 “CVID 비핵화”라고 언급하면서 더 강력한 ‘PVID 비핵화’ 방식에서 한걸음 물러났다는 점을 시사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1/2018051101545.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