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격동의 봄']
정의용 오자 오찬·면담·만찬 '환대'… 방북·방미 결과 들어

시진핑 "한반도 不戰이 中 입장", 정의용 "文대통령이 국빈 초청"
왕이 "작년 잇단 유엔 결의안 뒤 북한의 한계점 왔다고 판단"
 

대북특사단의 평양 방문과 직후에 있었던 방미 결과를 전하러 12일 중국을 찾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예상보다 큰 환대를 받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른바 '양회(兩會)'로 불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동시 진행 중인데도 시간을 쪼개 정 실장을 만났다.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예전만 못한 상황에서 남·북·미 3국 간의 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데 대한 중국 측의 '초조감'이 반영됐다는 관측이다.

시진핑·양제츠 등 이례적 릴레이 면담

이날 오전 비행기로 중국에 간 정 실장은 도착 당일에 시 주석은 물론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과 왕이 외교부장을 릴레이로 만났다. 양 국무위원은 정 실장과 낮 12시 15분(현지 시각)부터 3시간 동안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면담을 한 뒤 오후 3시부터 1시간 30분 동안 오찬을 했다. 외교 소식통은 "양 국무위원은 면담 내내 정 실장에게 김정은에 대해 물을 수 있는 걸 시시콜콜히 다 물어봤다"고 전했다.

이어 오후 5시(현지 시각)부터 35분 동안 시 주석이 직접 정 실장 면담에 나섰다. 오후 6시 20분(현지 시각)부터 8시 15분까지 약 2시간 동안은 다시 댜오위타이에서 왕 부장이 만찬을 이어갔다. 국가 정상급이 아닌 참모진에 대해 전례가 드문 접대였다. 작년 12월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 때와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당시 중국 측은 문 대통령의 3박 4일 일정 중 두 번의 식사만 대접했다. 우리 순방 기자들이 중국 측 경호원에게 폭행당하는 사건까지 일어났었다.
 
이미지 크게보기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12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면담하고 있다. 왼쪽부터 노영민 주중 대사, 정 실장, 시 주석,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왕이 외교부장. /로이터 연합뉴스

정 실장을 맞이하는 중국 측의 태도도 사뭇 달랐다. 이날 베이징 인민대회당 푸젠팅(福建廳)에서 정 실장을 맞이한 시 주석은 "한반도 비핵화와 부전(不戰·전쟁 반대), 불란(不亂·혼란 방지)은 중국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한국 측이 기울인 노력을 적극 평가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향후 비핵화 협상에 중국도 참여할 뜻을 분명히 했다. 중국 측 발표문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정 실장과의 면담에서 "(중국은) 중국 측의 '쌍궤병행' 구상과 각국의 유익한 건의를 결합해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추진하기 바란다"고도 말했다.

이에 앞서 정 실장을 만난 양 국무위원도 "중국 측은 계속 적극적, 건설적인 작용을 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만찬을 대접한 왕 부장은 "지금 중국에서는 양회 기간인데도 시 주석이 시간을 내어 정 실장과 만났다"며 "이를 통해 중국의 한반도 평화 유지에 대한 확고한 결심과 한국 측 노력에 대한 지지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왕이 "북핵의 한계점 왔다고 판단"

중국 측의 태도 변화에는 남북, 미·북 정상회담이 잇따라 성사된 데 대한 불안감이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02년 10월 발생한 제2차 북핵 위기 이래 북한 비핵화 협상에서 중국은 확고한 역할을 갖고 있었다. 2003년 4월 중국의 중재로 베이징에서 미·북·중 3자 회담이 열렸고, 이후 2003년 8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유지된 6자 회담 틀 속에서 중국은 항상 '의장국' 역할을 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의 역할은 '간접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특히 오는 4~5월 남북 및 미·북 정상회담이 잇따라 열리면 중국의 역할과 영향력은 더 줄어들 수 있다. 중국으로선 현재 남북, 미·북 간에 어떤 대화가 오가는지 상황 파악을 한 뒤 조속히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그래서 우리 측에 대한 태도가 180도 달라진 것이다.

이런 점을 의식한 듯 왕 부장은 현재의 대화 국면 조성에 중국의 역할이 컸다고 강조했다. 왕 부장은 "시 주석이 트럼프와 만날 때마다 장시간에 걸쳐 왜 무력 사용을 반대하는지, 왜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설명했다"며 "이런 노력이 적극적 성과를 거두고 있어 가슴 뿌듯하다"고 했다. 특히 왕 부장은 중국의 제재·압박이 북한을 대화로 불러냈다고 말했다 . 왕 부장은 "(중국은 대북) 압력의 임계점을 잘 파악한 다음에 압박을 대화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작년 9월과 12월 채택된) 유엔 2375, 2397 결의안이 나온 다음에 북한의 한계점이 왔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 결의안 이후 한국의 새 정부는 문 대통령의 리더십과 평창 동계올림픽을 활용해 남북 관계의 새 국면을 열었다"는 것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13/2018031300306.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