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군 사령부는 22일 오전 서울 용산 국방부 브리핑실에서 최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통해 귀순한 북한군 귀순 장면이 담긴 CCTV를 공개했다. 귀순 병사가 차량 바퀴가 배수로 턱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자 차량에서 내려 남쪽으로 달린 뒤 공동경비구역 남쪽 벽에 쓰러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통해 귀순하다 총상을 입은 북한 병사는 한국 걸그룹을 무척 좋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의료진이 소녀시대의 'GEE' 노래를 오리지널 버전과 락 버전, 인디밴드 버전 등 3가지로 들려줬더니 북한 병사는 "오리지널 버전이 가장 좋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 수원 아주대병원 중증외상센터 이국종 교수는 22일 언론 브리핑 후 가진 질의응답 과정에서 "환자에게 소녀시대의 'GEE'를 오리지널 버전과 락 버전, 인디밴드 버전 등 3가지로 들려줬더니 오리지널 버전이 가장 좋다고 했다. 걸그룹을 되게 좋아한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북한 병사에게 노래를 들려주게 된 배경에 대해 "일부 환자는 기관 삽관을 제거하고 나면 정신을 못차리고 미친 사람처럼 행동하기도 한다"며 "그때 환자를 깨우기 위해 심한 자극을 주지 않고 재미있는 것을 보여주는 게 치료 기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부 언론 보도와 같이 환자가 남측 노래를 틀어달라고 한 적은 없고, 의료진이 정서 안정 차원에서 노래를 틀어줬다"고 덧붙였다.

의료진은 북한 병사에게 TV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뉴스를 보면 지나친 자극을 받을 수 있다는 판단 하에 TV 채널 선택권은 주지 않았다고 한다. 이 교수는 "영화 전용 채널을 틀어주고 있다"며 "CSI 등 미국 드라마와 영화를 좋아한다"고 전했다.

노래와 영화 등을 매개로 북한 병사는 자신의 이야기를 조금씩 털어놓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교수는 "환자와 함께 미국 영화 '트랜스포터'를 잠깐 봤다. 그걸 보던 중 주연배우 제이슨 스타뎀이 빠르게 운전하니까 환자가 '나도 운전을 했다'고 하더라"라며 "(귀순할 때 차량이) 왜 도랑에 빠졌냐고 물어보니 그 말은 잘 못알아듣더라. 그 질문을 한 뒤 '아차'해서 '미안하다'고 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런 식으로 이야기하면 듣는 거지 (북한에서 무슨 일을 했는지 먼저) 묻지 않는다. 그쪽 생각을 하면 환자에게 좋지 않기 때문"이라며 "주로 '한국에서는 이러이러한 걸 해야 한다'는 말을 해준다"고 덧붙였다.
 
22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아주대학교병원에서 이국종 교수가 총상을 입은 채 귀순한 북한군 병사의 회복 상태 등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병사의 상태에 대해선 "강건한 친구라 잘 견디는 것 같다. 통상 환자보다 회복 속도가 빠르다"고 했다. 골반에서 뚫고 들어간 총알 때문에 통증이 심해 괴로워했지만, 지난 21일부터 차차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교수에 따르면, 북한 병사는 현재 물만 겨우 마시고 있지만 앞으로 묽은 미음부터 먹기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부상이 워낙 심각해 흉터나 후유증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 교수는 "주로 6개월이나 2년 때 오는 장폐색이 앞으로 과제"라며 "이 환자의 경우 영구적으로 후유증이 아무 때나 올 수 있다"고 했다. 총알이 골반을 뚫고 대각선 위로 올라가면서 어마어마하게 많은 장기를 뚫고 지나갔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흉이 생기면서 장과 장 사이가 눌어붙었는데, 몸이 움직일 때마다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져 장폐색이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흉터 역시 영구적으로 남는다고 했다.

북한 병사가 합동신문을 받으려면 시일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교수는 "의학적으로 신문을 받으려면 한 달 정도는 필요할 것"이라며 "몸도 아픈데 (가족 얘기 등) 마음마저 그러면 얼마나 괴롭겠나. 이런 내용을 합참 의장에게 건의했고,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전했다.

북한 병사의 신원에 대해선 만 24세의 오모씨라고 전했다. 이 교수는 "통상 같은 또래의 대한민국 청년과 피부 상태가 좀 달랐다"며 "악수해보니 UDT(해군 특수전전단) 대원처럼, 손가죽이 빨래판처럼 단단했다"고 말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22/2017112202047.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