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아시아 순방]

美 '아시아·태평양' 용어 대신 쓰기 시작… 新아시아 전략 곧 발표

- 中 "누구도 견제 못한다" 발끈
시진핑, 내주 라오스·베트남 방문… 서열 2위 리커창은 필리핀으로
美 새전략 의식해 동시순방나서

- 그래도… 성대한 트럼프 맞이
자금성 내 建福宮서 연회 준비… 밤산책 한 오바마보다 더 예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아시아 순방의 최대 목표는 북핵 압박이지만, 이번 순방에서 중국 견제를 핵심으로 하는 새 아시아 전략도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뉴욕타임스(NYT) 등이 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베트남에서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이라는 아시아 전략을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백악관과 국무부는 '아시아·태평양' 대신 인도·태평양(Indo-Pacific)이란 용어를 자주 사용했다.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은 지난 2일 언론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래 인도·태평양 지역 지도자들과 43번이나 통화했다"고 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1일 각료회의에서 이 말을 거론했다. 앞서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지난달 18일 미국·인도 관계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15차례나 '인도·태평양'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AP통신은 "이 용어에는 미국의 영향력이 뻗치는 범위를 동북아 등 중국 주변국에 제한하지 않고 중국의 급부상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고 있는 인도와 호주까지 넓히겠다는 구상이 담겨있다"고 풀이했다.

이 말이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인도·일본의 협력을 주제로 한 인도 전문가의 2007년 논문이었다. 아베 일본 총리가 같은 해 인도 의회 연설에서 '자유롭고 번영하는 인도·태평양'이라는 주제로 양국 협력을 강조하면서 외교 전략 차원의 용어로 승격됐다. NYT도 "트럼프의 인도·태평양 구상에 아이디어를 제공한 것은 아베 총리"라고 전했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아베 총리가 지난 2월 방미 때 트럼프에게 '단기적으론 북한이 위협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이 위협'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은 트럼프의 이번 순방을 앞두고, '자유로운 인도·태평양' 전략을 공식화하도록 상당한 공을 들여왔다고 신문은 전했다. 그 핵심은 미국·일본·인도·호주 4개국이 유대를 강화해 중국의 군사적 부상에 맞서고 시진핑 주석의 '일대일로' 전략도 견제하자는 것이다.

일본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자유롭게 열린 인도·태평양 전략'을 발표하는 6일 공동 기자회견이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전체 일정을 통틀어 가장 핵심적인 순간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4개국 정상회담과 각료급 회담 신설도 추진할 방침이라고 신문들은 전했다.

중국 정부나 관영 매체들은 인도·태평양 전략이라는 용어를 거의 언급하지 않은 채 미·중 협력만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고립주의 성향의 트럼프 행정부가 오바마 정부 시절의 아시아 중시 정책을 포기할 것으로 내심 기대했던 중국은 달갑잖은 기색이 역력하다.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대사는 지난달 30일 워싱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도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질문을 받고 "그 어떤 나라도 중국을 견제할 수 없다"고 발끈했다. 중국 관찰자망 등은 "인도·태평양 전략은 미국이 대중(對中) 견제의 기존 파트너인 일본에 더해 인도와 호주를 포함하는 대연맹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인민일보 등 관영 매체들은 "미국은 금융위기와 두 차례의 전쟁 수행 등으로 이제 혼자만의 힘으로는 전 세계적 골칫거리들을 해결할 수 없다"며 "(중국과의) 협력만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강조하고 나섰다.

오는 12~14일 중국 시진핑 주석이 라오스와 베트남을 연쇄 방문하고, 같은 기간 리커창 총리가 필리핀을 방문하는 등 중국 서열 1·2위가 동시에 순방에 나서는 것도 미국의 아시아 전략 변화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홍콩 명보는 중국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위해 자금성 내 건복궁(建福宮)에서 연회를 여는 등 오바마 전 대통령의 방중 때보다 더 극진한 예우를 할 것이라고 5일 보도했다. 명보는 "이런 일정이 실행된다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예우는 자금성 밤 산책까지만 허락한 오바마 대통령에 대한 예우를 뛰어넘는 것"이라고 전했 다. 건복궁은 청나라 건륭제의 거처였으나 1923년 화재로 소실됐다. 홍콩 헝룽그룹 천치쭝(陳啓宗) 회장의 출연으로 2005년 복원됐지만, 일반인 출입 금지 구역으로 특별한 외교 행사에만 사용돼왔다. 2008년 전 미국 대통령인 아버지 부시 부부와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을 접대한 이후 10년 동안 미국 측 인사를 이곳에서 맞은 적이 없다고 명보는 전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06/2017110600203.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