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지원 등 '복지 선물' 들고 중의원 해산·총선 공식 발표]

北風 타고 지지율 50% 회복… 아베 피로감·부동층이 변수
야당 "중의원 해산 명분 없다"

'여자 아베' 고이케, 新黨 대표로 여당에 맞서 돌풍 이어갈지 주목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사진) 일본 총리는 25일 도쿄 나가타초 총리관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다음 달 22일 총선을 치르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그는 이 자리에 '2조엔(약 20조원)짜리 복지 선물'을 들고 나왔다. 그는 "내년 9월 소비세를 현행 8%에서 10%로 올리고, 늘어난 세수(稅收)를 '육아'와 '간병'이라는 두 가지 불안을 해소하는 데 투입하겠다"며 "이에 대한 국민의 신임을 묻기 위해 중의원을 해산하고 총선을 실시하겠다"고 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 7월 도쿄도의회 선거 참패 직후만 해도 "조기 총선을 실시할 계획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이달 들어 정권 지지율이 40~50%대로 회복되자, '잠재적 경쟁자인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 도쿄도지사 진영이 전국 조직을 갖추기 전에 지금 당장 총선을 실시하는 게 유리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 국회를 해산하면, 가을 임시국회 때 아베 정권의 아킬레스건인 사학 스캔들을 야당과 언론이 집요하게 파헤치는 걸 피할 수 있다는 계산도 작용했다고 한다.

아사히신문은 아베 총리가 총선 정국에 북한 관련 긴급 사태가 일어날까봐 망설였으나 지난 16일 외교·안보 핵심 참모인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국가안보국장으로부터 "유엔 대북 제재가 효과를 보려면 3~6개월 걸리는데, 그 사이 미국과 북한이 무력 충돌할 가능성은 낮다"는 보고를 받고 결심을 굳혔다고 보도했다. 그는 이날 "북한 대응에 대해서도 국민의 신임을 묻고 싶다"며 "국난 돌파를 위한 해산"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민진당 등 주요 야당은 "대의가 아니라 이해 득실에 따른 해산"이라며 반발했다. 총리 회견에 앞서 열린 스가 요시히데(管義偉) 관방장관의 정례 브리핑 때도 "야당이 재편 중일 때 (총리가 이런 식으로 국회 해산을 강행하는 건) 공정하지 못한 일 아니냐"는 날 선 질문이 쏟아졌다. 스가 장관은 "야당은 야당대로 자기 정치를 하면 그뿐"이라고 받아쳤다.
 
일본 중의원 정당별 지지도 외

최대 야당 민진당은 내부 갈등으로 도미노 탈당 사태를 겪고 있다. 지지부진한 민진당 대신 태풍의 눈으로 떠오른 게 고이케 지사 세력이 만들고 있는 신당이다. 고이케 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당명을 '희망의 당'으로 정했다"며 "제가 확실히 깃발을 들겠다"고 했다. 2선에 머무는 대신 신당 대표를 맡아 총선을 지휘할 뜻을 명확히 한 것이다.

마이니치신문 등 일본 언론은 이번 총선의 핵심 포인트가 '고이케 지사가 어느 정도 의석을 확보할 수 있느냐'에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은 그동안 선거구를 조정해 중의원 의석을 475석에서 465석으로 줄였다. 자민당이 지금 의석(475석 중 288석·61%)보다 줄어든다 해도 공명당과 합해 465석 중 233석(50%)만 넘으면 집권당 자리를 유지하는 데 문제가 없다. 자민당 입장에서 가장 큰 고민은 고이케 지사가 만드는 희망의당이 어느 정도 돌풍을 일으키느냐는 것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지난 22~24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아직은 "자민당을 찍겠다"는 응답(44%)이 민진당(8%)과 희망의당(8%)을 찍겠다는 응답을 다섯 배 이상 앞질렀다. 하지만 장기 집권에 따른 '아베 피로감'이 강해지고 있는 데다 부동층이 20%에 달해 결과가 얼마든지 요동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희망의당은 이번 총선 때 전국적으로 150~160명의 후보를 낼 방침이다. 아베 총리 입장에선 이번 총선에 이겨야 평화헌법 개헌을 계속 추진하면서 내년 9월 자민당 총재 선거에 도전해 2020년 도쿄올림픽까지 장기집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베 총리는 "소비세 올려서 생기는 돈 2조엔을 유아교육 무상화, 보육지원 같은 '젊은 층을 위한 복지'에 투입하겠다"고 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26/2017092600142.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