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이뤄진 6차 북한 핵실험 이후 방사성 핵종 탐지 분석 결과 동북부 지역에 설치된 고정식 장비에서 제논-133이 0.16~1.14밀리베크렐(mBq/㎥) 수준에서 총 9회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상에서 운영되는 이동식 장비에서는 제논-133이 0.20~0.33밀리베크렐 범위에서 총 4회 검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6차 북한 핵실험 이후 방사성 핵종 탐지 최종 종합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원안위는 “이번에 검출된 방사성 핵종인 제논-133의 농도를 볼 때 6차 북한 핵실험과의 연관성이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조선DB
▲ 조선DB

그러나 이번 핵종 검출 결과로 북한 핵실험이 북한의 주장대로 ‘수소탄’ 실험이었는지는 확인하기 불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자연 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방사성 핵종인 제논은 반감기에 따라 4종류로 나뉘는데 이 중 제논-133만 검출된 상황에서는 북학 핵실험 종류를 구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와 함께 6차 북한 핵실험 직후 상황반을 설치, 24시간 운영하고 방사성 핵종 탐지 활동을 수행했다. 동북부와 서부 지역에 설치된 2개의 고정식 장비와 해상에서의 이동식 장비를 활용해 12시간 간격으로 육상 32회, 해상 11회 등 총 43회에 걸쳐 포집했다. 또 세슘 등 입자성 방사성 핵종 포집을 위한 공중 포집도 총 10회 수행했다.

원안위에 따르면 9월 3일 핵실험 직후 약 4일 동안 남동풍이 불어 제논 검출이 이뤄지지 않았지만 제논 검출이 처음 이뤄진 9월 7일부터 기류가 바뀌어 제논이 검출됐다.

최종배 원안위 사무처장은 “9월 3일 핵실험 직후에는 기류가 러시아 쪽으로 향해 해상 쪽으로 탐지선을 보냈다”며 “9월 7일부터 의미있는 데이터라고 할 수 있는 0.1밀리베크렐(mBq/㎥)의 제논-133이 검출되기 시작했는데, 검출된 시점과 기상청의 기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핵실험이 이뤄진 북한 풍계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결론내렸다”고 밝혔다.

최 처장은 또 “이번 북한 핵실험의 경우 인공지진이 두 번이나 있었기 때문에 방사성 핵종이 검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지난 핵실험 때보다 포집 횟수를 2배나 늘리면서 제논-133을 검출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북한이 공개적으로 핵실험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원안위의 방사성 핵종 포집 활동이 핵실험 규모나 종류를 분석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국무총리실 소속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방사성 핵종 검출 역량을 높여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핵실험이 이뤄진 장소와 가까운 곳에서 포집하지 않는 이상 핵실험 규모와 종류를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성게용 KINS 원장은 “제논에서 4가지 핵종이 나오는데 반감기가 모두 다르고 양도 다르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양을 측정해서 통계적으로 비율을 분석해야 어떤 핵실험인지를 알 수 있다”며 “현재로선 핵실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은 거의 어렵고 향후 중국, 러시아와의 협력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종배 처장도 “중국과는 환경 방사능 분야에서 국가적 차원 교류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북한 핵실험 관련한 협력 논의가 이뤄지려면 정부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13/2017091301338.html#csidx5739f84db2d1aa4a7830ea2e6cc9508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