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DJ·盧정부 때와는 달라
文대통령 '적대행위 중단' 언급한 7월 27일을 열흘 남겨놓고 제안
 

정부가 17일 북한에 적십자회담과 군사당국회담을 제안하는 과정에서 회담 성사를 위해 북한과 사전 물밑 접촉을 해왔는지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과거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는 북한과 공식적으로 만나기 전에 물밑·비공개 채널을 통해 분위기를 조성하고 의제를 조율한 경우가 많다. 현 정부의 서훈 국정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등은 과거 정부에서 이 같은 물밑 접촉 경험이 풍부하다.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도 지난 5월 언론 인터뷰에서 남북 관계 전망과 관련해 "대북 물밑 접촉 등을 하고 그런 다음에 공식 접촉을 하고 특사도 보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조명균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측과 사전 교감이 있었느냐'는 질문에 "상호 간에 그런 것이 특별히 있지는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상당히 오랜 기간 남북 간 대화 접촉이 없었다"며 "만약 북한이 호응해 온다면 새 정부 들어 첫 남북 대화가 되는 만큼 상호 관심사들을 자연스럽게 논의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측면으로 이해해줬으면 한다"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본지 통화에서 "사전 접촉은 없었지만 시기적으로도 한발쯤 내디뎌 봐도 될 것 같은 시점으로 판단했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6일 "휴전협정 64주년인 7월 27일을 기해 남북이 군사분계선에서 일체의 적대 행위를 중단하자"는 제안을 포함한 '베를린 구상'을 발표했다. 이 시점까지 10일밖에 남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했다는 것이다. 정부 소식통은 "최근 북한의 잇단 도발 등 때문에 사전 접촉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었다"고 했다.

조 장관은 이날 미국과의 사전 협의 여부를 묻는 말에는 "우리가 한반도 평화 문제를 주도적으로 풀어나간다는 것에 대해 한·미 정상회담과 G20 정상회의 등을 통해 국제사회와 함께 의견을 같이한 부분이 있다. 그런 범위 내에서 필요한 협조가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18/2017071800222.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