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켈 "인류공존 룰 따르는 세계무역을 지키자"

문재인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만나 "(한국 정부는) 사회적 시장경제의 모태인 독일과 많은 부분에 있어서 가치와 철학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독일 베를린 연방총리실에서 메르켈 총리와 만찬회담에 앞서 언론발표를 갖고 "저는 지난 5월 대통령 취임 후 일자리 창출과 동반성장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또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 구현을 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후(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연방총리실 청사에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후(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연방총리실 청사에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과 메르켈 총리의 만찬회담은 이날 오후 7시 20분부터 8시 50분까지 약 1시간 30분간 진행됐다. 양국 간 전통적 우호협력 관계와 실질협력의 증진, 그리고 지역 및 글로벌 협력 방안이 화제로 올랐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 4차 산업혁명, 중소기업, 직업교육 등 다양한 협력을 통해 사람이 중심이 되는 미래경제를 함께 건설해 나가기를 희망한다"며 "독일은 탈원전 및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선도하고 있는데, 우리 정부도 탈원전을 지향하는 만큼 에너지 정책 비전에서도 함께 발전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메르켈 독일 총리는 이에 대해 비공개 회담에서 "본인이 9월 총선에서 승리하여 총리로 유임된다면 문재인 대통령이 관심을 갖고 있는 유럽식 사회적 시장경제 분야에서 협력하고 싶다"며 "이를 통해 한국의 민주주의가 계속 성공적으로 걸어가 동아시아 지역 내 국가들이 모범이 되기를 바라기 때문”이라고 화답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메르켈 총리는 또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대해서는 언론발표 공개발언을 통해 "우리가 세계화, 그리고 온 인류의 공존의 룰과 규정에 따른 세계무역을 지키고, 세계 규정을 지킨 가운데서 세계화를 더욱 더 잘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양국 정상은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문 대통령은 메르켈 총리에게 "북한 핵문제 해결 과정에서 독일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북한은 어제 가장 고도화된 미사일을 발사했다"며 "이것은 한반도의 평화는 물론이고 전세계의 평화에 대한 아주 심각한 도전이고 위협으로 북한의 도발을 멈추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더욱 강도 높은 제재와 압박이 강구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비공개 회담에서는 "어제 발사한 미사일은 거의 ICBM에 근접한 것으로 보인다. 사거리는 늘어났지만 정확도와 핵탄두 탑재 가능 여부는 미지수"라면서도 "2, 3년 후쯤 가능할 것으로 판단할지 모르지만 지금 속도로 보면 안심할 수 없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고 청와대가 전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에 대해 "북한의 어떤 핵무장 미사일 도발에 대해서 힘을 합쳐서 한국 정부, 한국민을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르켈 총리는 비공개 회담에서는 구체적인 지지 방식도 제시했다. 그는 "모든 회원국들이 이 문제에 관하여 논의했다는 내용과 UN결의 및 그 해당조치에 따르면 된다는 정도의 내용을 의장국 성명에 기술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은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일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예정인데 빠른 반응이 자칫 위험한 상황으로 흐를 수도 있다는 것을 이야기해 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날 한독 정상간의 만찬회담에는 독일측에서는 자이버트 정부대변인, 호이스겐 총리실 외교안보좌관, 빈터 총리실 경제정책담당보좌관, 하트만 총리실 아태국장 등이 참석했고, 우리측에서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강경화 외교부장관,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이경수 주독일대사,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참석했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06/2017070600426.html#csidxef6cdd81e66b740a36b7a50197cc350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