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민무장화'의 상징인 노농적위대가 98년 9월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정권수립 50주년 경축 열병식에서 행진하고 있다.

『국가는 군대와 인민을 정치사상적으로 무장시키는 기초 우(위)에서 전군간부화, 전군현대화, 전민무장화, 전국요새화를 기본으로 하는 자위적 군사노선을 관철한다.』

이른바 「4대 군사노선」의 관철을 천명한 이 구절은 1998년 9월 개정된 북한 사회주의헌법 제60조다.

여기서 전군현대화는 『인민군대를 현대적 무기와 전투기술기재로 무장시키고 최신 군사과학과 군사기술로 튼튼히 준비시켜 일당백의 혁명무력으로 강화발전 시키는 것』, 전군간부화는 『일단 유사시 전사로부터 장령(장성)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다 한 등급이상의 높은 직무를 능히 담당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또 전민무장화는 『전체 인민을 정치사상적으로나 군사기술적으로 튼튼히 무장시키는 것』, 전국요새화는 『나라의 모든 지역에 철벽같은 방어시설을 구축함으로써 온 나라를 난공불락의 요새로 튼튼히 꾸리는 것』으로 설명된다.

북한은 이 4개 노선 가운데 전민무장화와 전국요새화에 대해서는 『강력한 자립적 민족경제토대에 의거하여 빛나게 실현됐다』(2000년 발간 「조선대백과사전」, 제16, 17권)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전군간부화와 전군현대화에 대해서는 분명한 언급을 회피하고 있다.

김일성은 1970년 11월 노동당 제5차대회 총화보고에서 『4대 군사노선을 적극 추진한 결과 전체 인민이 총을 쏠 줄 알며 총을 메고 있다.…모든 지역에 철옹성같은 방위시설을 쌓아놓았으며 중요한 생산시설까지 요새화했다』고 공언한 바 있다.

실제로 4대 군사노선은 처음 제기될 때 ▲전민무장화 ▲전국요새화 ▲전군간부화 ▲전군현대화의 순서로 발표됐다. 그러나 93년경부터 ▲전군간부화 ▲전군현대화 ▲전민무장화 ▲전국요새화로 순위가 바뀌기 시작했으며 98년 9월 개정 헌법에 그대로 반영됐다. 30여 년에 걸쳐 4대 군사노선을 추진해온 결과 전민무장화와 전국요새화는 어느 정도 완료됐고, 전군간부화와 전군현대화는 좀더 박차를 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4대 군사노선은 베트남전의 확전과 쿠바 미사일위기 등 긴박한 국제정세 변화에 대응해 1962년 12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5차 전원회의에서 처음 제기됐다. 4년 뒤인 1966년 10월 제2차 당대표자회에서 공식 천명됐으며, 이후 당과 국가의 군사정책·노선의 근간으로 일관되게 유지돼 왔다.

90년대 들어 소련 해체와 동구 사회주의 붕괴, 김일성 사망과 경제난 심화 등 안팎의 위기속에서도 꾸준히 강화돼 왔다. 김정일은 1997년 1월 경제사정의 어려움을 들어 노농적위대 훈련을 잠시 중단하게 해 달라는 호소를 듣고 『노농적위대 훈련은 나라의 안전과 관련된 문제이므로 경제형편이 아무리 어렵다 하더라도 그만 두면 안 된다』면서 『잠을 적게 자더라도 훈련은 훈련대로 하고 일은 일대로 해야겠다고 해야지 잠은 잠대로 자고 훈련은 하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질타(평양방송, 3.17)한 바 있다.

노농적위대(46∼60세 남자위주. 414만)는 교도대(남자 17∼45세, 여자 17∼30세. 173만)·붉은청년근위대(14∼16세. 118만)와 함께 전민무장화의 상징이다. /김광인기자 kki@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