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4월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놓고 미국이 북한에 대해 구체적인 행동을 취할 때까지 '100 일'의 유예기간을 요청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연합뉴스


일본 아사히신문은 22일 미국·일본 내 복수의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미국과 중국 두 정상은 지난 4월 6~7일 미·중 정상회담에서 대북 제재에 대해 이러한 기한을 설정한 것으로 전해진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미·중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대외 무역의 약 90%를 차지하는 중국에 대북(對北) 경제 제재를 강화하도록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협조하지 않을 경우 북한과 거래가 있는 대형 금융 기관을 포함한 여러 중국 기업을 제재 대상에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기업들이 제재 대상이되면 미국의 금융 기관 및 기업과의 거래를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시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100일의 유예 기간을 제안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아사히 신문은 “중국은 가을에 지도부가 바뀌는 공산당 대회가 열릴 예정이라 미­·중 관계가 삐걱거린 채 중요한 정치 일정을 맞고 싶지 않다는 사정도 있었던 것 같다”고 분석했다.

미·일 외교당국 관계자에 따르면, 회담에서 미·중 두 정상은 북한에 의한 새로운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저지하기로 합의했다고 아사히 신문은 보도했다. 북한이 ‘중대한 도발'을 감행할 경우 미·중이 고유의 제재를 북한에 부과하기로 합의했다는 것이다. 시진핑 주석은 중국 국내 기업에서 북한에 대한 송금 규제와 대북 석유 수출 규제 등 독자적인 제재를 검토하고 있음도 시사했다고 아사히신문은 전했다.

하지만 아사히신문은 “북한은 21 일에도 탄도 미사일 발사를 강행해, (미·중 합의가) 어디까지 효과가 있는지 불투명하다”고 전했다.

미중 정상회담이 열렸던 4월 초 기준으로 100일 전후가 되는 오는 7월 독일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때 다 시 만나 북한 문제에 대해 다시 논의할 전망이다.

한편 미국은 중국과의 정상회담 후 대북 강경 일변도에서 벗어나 유화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특사 홍석현 통일외교안보특보 지명자를 만났을 때 ‘평화’란 단어를 처음 언급했다.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대북 군사행동에 소극적인 태도를 밝히기도 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22/2017052201718.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