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석현 특사 15분간 접견
집무실서 한국특사 접견은 처음
궁서체 친서 보고 "아름답다"… 사드·FTA는 언급되지 않아

- 洪특사, 안보보좌관도 만나
洪 "사드, 국내서 절차 문제 논란" 맥매스터 "한국의 입장·상황 존중"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17일(이하 현지 시각) 홍석현 대미(對美) 특사를 만난 자리에서 "지금은 (북한에 대한) 압박과 제재 단계지만, 어떤 조건이 된다면 관여(engagement)를 통해서 평화를 만들어 나갈 의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단지 대화를 위한 대화가 아니라 결과물을 만들어 나가는 대화를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사단은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도 만나 북핵·사드 문제를 협의했으며 미측에 "(사드 배치에 대한) 국회에서의 논의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트럼프 "조건 되면 대화로 평화 만들 것"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3시 50분쯤 백악관 내 집무실인 오벌 오피스에서 15분간 홍 특사를 만났다. 미측에서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 맥매스터 보좌관, 매슈 포틴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 보좌관이 배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 고문도 잠시 들러 인사를 나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문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을 먼저 거론하면서 "문 대통령에 대해 굉장히 좋은 느낌을 받았고, 좋은 협력을 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동맹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고 있다"며 "문 대통령이 방미하면 북핵 문제를 포함, 한·미 동맹 문제를 긴밀히 협의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홍석현 대미(對美) 특사가 17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6·25전 참전 용사 기념비에 헌화하고 있다.
홍석현 대미(對美) 특사가 17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6·25전 참전 용사 기념비에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특사단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대외 정책 기조가 '힘을 통한 평화(peace through strength)'인데, 지금 단계에서는 대북 제재·압박이 바로 힘이고 그 힘에 기반한 협상을 하자는 의미로 해석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트럼프 대통령과의 접견에서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문제는 언급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홍 특사는 봉황 문양이 인쇄된 용지에 한글 궁서체로 작성된 문 대통령의 친서(親書)를 전달했다. 뒤쪽에 영문본이 첨부된 1.5쪽짜리 친서를 받아들고 트럼프 대통령은 "아름답다(It's beautiful). 잘 읽어보겠다"고 했다.

2008년 1월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특사 자격으로 방미한 정몽준 당시 한나라당 의원이 스티븐 해들리 국가안보보좌관을 만났을 때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해들리 보좌관의 사무실을 들른 적은 있지만, 미 대통령이 집무실에서 우리 특사를 맞은 것은 처음이다.

맥매스터, 사드 절차 문제에 "알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접견에 이어 특사단은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과 40분간 북핵·사드 문제를 협의했다. 맥매스터는 "최근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있었는데 문 대통령의 외교·안보팀이 다 갖춰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을 잘 관리하고 리드해 나간 점이 굉장히 인상적이었다"는 말로 면담을 시작했다. 홍 특사는 "역시 이런 문제들은 한·미 동맹을 근간으로 해서 해결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대북) 제재·압박도 해나가지만 조건이 성숙되면 대화라는 수단도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맥매스터는 "그런 원칙에 동의한다"면서도 "어떤 조건에서 (북한과) 대화를 해야 하는지 추가적 협의가 필요할 것인데 한·미 간 실무 협의를 해나가자"고 했다.

사드 문제는 우리 측이 먼저 제기했다. 홍 특사가 "국내적으로 (사드 배치의) 민주적 절차에 문제가 있다는 논란이 있다. 국회에서의 논의가 불가피하다"고 말하자 맥매스터는 "잘 알고 있다. 한국의 입장과 상황을 존중한다(respect)"고 말했다고 한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19/2017051900277.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