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당선]
새 대통령에게 바란다 - 외교·안보 원로들
 

외교·안보 원로들은 새로 출범하는 문재인 정부에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긴밀한 관계 구축을 통해 북한·북핵 문제를 차분히 풀어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안보에 관해서는 여야가 큰 틀에서 합의해 나가야 하며, 5년마다 정책이 바뀌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공로명 전 외무장관은 "우리가 가진 (외교·안보적) 자산은 한·미 동맹"이라며 "국가 안보를 위해 미국과의 동맹 관계에 가장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고 했다. 그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응징하기 위해 지금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를 국제적으로 가하고 있는데 당사자인 한국이 개성공단과 금강산을 여는 것은 한·미 동맹 차원에서도 말이 안 된다"고 했다.

윤덕민 국립외교원장은 "북핵, 위안부, 사드 등 주요 외교·안보 사안들은 한·미 관계가 굳건해야 실마리가 풀린다"며 "북핵 문제가 위급한 사안이기에 우리도 이른 시일 안에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 관계를 다져야 한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했다. 신각수 전 외교차관도 "꼼꼼한 준비 후 한·미 정상회담을 조기에 개최해 한국 진보 정권과 미국 보수 정권의 간극을 줄여야 한다"고 했다.

정종욱 통일준비위원회 부위원장은 '속도 조절'을 주문했다. 새 정부가 쫓기듯 외교·안보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는 "(한·미 정상회담 등은) 미 외교·안보 부처의 주요 인사들이 확정된 다음에 해야 한다"고 했다. 라종일 전 주일 대사는 한·미 동맹이 중요하다면서도 중국 등과의 '균형'을 주문했다. 라 전 대사는 "중국이나 러시아 관계도 중요하다"며 "균형이 있어야 대북 정책에서 국제사회와 보조를 맞춰 제재를 하면서도 교류와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했다.

이상희 전 국방부장관은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강화해 외교·안보 정책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확실히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며 "특히 북한을 관리한다 고 해서 남북 관계를 안보보다 우선시하거나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한승주 전 외교부 장관은 "한·중, 한·일 관계에서는 정치·군사·안보 관계에 상관없이 민간 차원의 경제 교류와 협력을 차질 없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또 과거보다는 미래지향적이 돼야 하며 특히 젊은 세대, 청소년 세대 간 우호와 교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10/2017051000294.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