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요 외신들이 한국의 제19대 대선에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대북정책이 급변할 수 있다”며 “한국의 대미관계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박근혜 전 정부에서 합의했던 사드배치 등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 제공
▲ 블룸버그 제공

외신은 정권교체로 대북정책이 바뀔지 주목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문 당선인은 북한과 중국에 보다 우호적이고, 미국에는 신중하다”고 전했다.

AFP통신은 “문 후보의 승리는 북한과 미국에 대한 한국의 접근법에서 상전벽해와 같은 변화(Sea change)를 의미할 수 있다”고 밝혔다.

CNBC는 “한국은 10년간의 보수정권을 끝내고 북한에 보다 회유적인 접근이 가능해졌다”며 “문 당선자는 북한과의 대화를 지지하고, 삼성과 같은 재벌 기업에 대한 개혁 작업도 진행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영국의 BBC 방송은 “문 당선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민정수석으로 있을 때 북한과 우호적으로 협력하는 햇볕정책을 사용했다”며 “이는 지난 8년과 청와대와 백악관이 대북 제재조치를 한 것과는 다른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USA투데이는 “문 당선자는 대북제재 효과에 대해 의문을 갖고 있고, 북한과 보다 외교적이고 경제적인 유대관계를 위해 문을 열어뒀다”며 “문 당선자는 과거 한국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도권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 적 있다”고 보도했다.

많은 언론들은 문재인 당선자가 사드 배치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던 만큼,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와 대미 관계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보도했다.

CNBC는 “문 당선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친한 친구로 햇볕정책을 공유하고 있다”며 “지난해 합의된 사드 배치 문제 등이 복잡해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USA투데이도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반발로 문 후보가 당선됐으며, 이는 한국과 미국의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며 “문 당선자가 사드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로이터 통신은 “문 후보의 당선은 박근혜 전 정부와 미국이 합의한 한반도 사드 배치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부 외신은 문재인 당선자가 미국과의 관계를 의식해 좀 더 합리적인 정책을 시행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인용해 “미국과의 심각한 갈등을 피하기 위해 문 당선인이 보다 실용적인 정책을 취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은 워싱턴포스트 인터뷰를 통해 “한국과 미국은 여전히 동맹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북한이 핵보유국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며 “동맹관계를 바꾸기는 어렵고, 대통령 개인이 원한다고 해서 바꿀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미국 백악관과 미국 의회는 문재인 후보 당선이 확실해지자 잇따라 축하 성명을 내고, 지속적인 협력의지를 다지자고 전하고 있다. 션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한·미 동맹 강화를 위해 문 당선자와 함께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존 매케인 상원 군사위원장은 잭 리드 상원 군사위 민주당 간사와 함께 “역내 위협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미가 지속해서 협력해야 한다”며 “한국 국민들은 미국이 양국 간의 강력한 동맹을 확실하게 지켜나갈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고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에드 로이스, 벤 카딘, 코리 가드너, 에드워드 마키 등 상·하원 의원들도 일제히 축하 성명을 발표했다. 마이크 켈리, 제리 코널리, 피터 로스캠, 아미 베라의원 등 '코리아 코커스' 공동의장단 4명도 공동 성명을 내고 당선 축하 메시지와 함께 한미동맹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협력 의지를 드러냈다.

문 당선인은 40%가 넘는 득표율로 2위인 홍준표 자유한국당후보에 16%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21.4%,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6.8%, 심상정 정의당 후보 6.2% 순서다. 19대 대통령 선거 투표율은 77.2%로 20년만에 가장 높았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10/2017051000480.html#csidxfa2cc18118592e5af8d6d633c9e857f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