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연 북한동포와통일을위한모임 대표·미국변호사[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인지연 북한동포와통일을위한모임 대표·미국변호사[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재작년 2월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가 보고서를 냈다. 결론은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심각한 반(反)인도 범죄를 저지르는 북한 정권 지도부를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북한인권 현장사무소'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작년 6월 서울에 북한인권사무소가 문을 열었다. 그런데 공식 명칭이 '유엔 북한인권사무소'가 아니라, '유엔 인권사무소-서울'이다. 그 말을 듣고 '아, 이들이 남한의 인권 문제에도 개입하려는 것인가'란 의구심마저 들었다. 유엔 COI 보고서가 제안한 임무는 물론 '북한 인권'으로 한정돼 있다.

이런 의심에는 이유가 있었다. 인권사무소의 유엔 인력 중에 한국인이 있다. 내가 4년 전에 제네바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에서 만난 인물이다. 당시 유엔에서 근무하던 나는 탈북민 강제 북송 사태를 막아야 한다는 글을 기고했는데, 그는 내게 "유엔에서 북한 인권에 대해 말하지 말라"고 했다. 한국의 인권도 제대로 못 지키면서 무슨 북한 인권인가, 한국 정부가 한국 내 난민이나 이주노동자에 제대로 신경 쓰느냐는 뜻으로 들렸다. 아무튼 그가 3년 후 '유엔 인권사무소-서울'의 주요 인사로 온 것이다.

'유엔 인권사무소-서울'은 북한의 인권 개선을 위해, 그리고 탈북민이 겪은 인권 침해를 조사할 목적으로 설립된 기구이다. 하지만 문턱은 높았다. 그곳에 가봤거나, 직원을 만나봤다는 탈북민은 적다. 주요 탈북민 인권 단체장 중에서도 소수만이 가보았다고 한다. 과연 누구를 위한 인권사무소인지 모르겠다고 말하는 탈북민들도 있다. 영어를 거의 못하고, 인터넷 소통에도 서툰 대부분의 탈북민 입장에서는 어떻게, 누구에게 연락해야 하는지 알기 힘든 게 사실이다.

 

애초에 이름부터 잘못됐다. COI 보고서에 입각해 '유엔 북한인권사무소-서울'로 출발했어야 옳다. 그리고 보다 많은 탈북민의 증언 수집에 나서고, 탈북민 공동체들과의 연락 접점도 능동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사무소의 활동 내용도 활발하게 알려 폐쇄적·소극적 기구 아니냐는 의혹에서도 벗어나기 바란다. 지금 북한 주민은 홀로코스트에 비견되는 인권 유린에 시달리고 있다. 이를 중지시키는 데 일조하는 진정한 '유엔 북한인권사무소-서울'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