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일 소대장 선두로 5인의 특공대가 북한군 탱크에 뛰어올라
포탑의 뚜껑을 열어 수류탄을 던지고 뛰어내리자, 불길이…

 

최보식 선임기자[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최보식 선임기자[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빗발치는 포화 속에서 육탄 돌격으로 북한군 탱크를 부순' 고(故) 심일 소령은 6·25 호국 영웅 중 맨 첫 줄에 있다. 태릉 육사 교정과 원주 현충공원 등에 그의 동상(銅像)이 서 있다. 육군에서는 매년 가장 우수한 전투중대장을 선발해 '심일상(賞)'을 수여하고 있다.

국가보훈처가 2011년 '이달의 6·25전쟁 영웅'을 제정했을 때도 첫 번째로 심일 소령이 뽑혔다. 선정 사유는 이렇게 돼 있다.

'1950. 6. 25 춘천 전투에서 6사단 7연대 대전차 포대 2소대장으로 북한군의 탱크형 자주포에 맞서 특공대 5명을 편성해 수류탄과 화염병으로 육탄 돌격, 3대를 격파하는 전공을 거두었다. 그의 영웅적인 행동은 순식간에 전파돼 모든 전선에서 육탄 공격으로 적 전차를 파괴하는 계기가 되었다.'

세간에는 이보다 훨씬 극적이고 생동감 있게 전해왔다. '심일 소대장을 선두로 5인의 특공대가 북한군 탱크에 뛰어올라 포탑의 뚜껑을 열어 수류탄과 화염병을 던지고 뛰어내리자 불길이 치솟으면서….' 필자의 초등학교 시절 교과서에도 이 영웅담이 실렸던 걸로 기억된다.

 

6·25 전쟁영웅인 심일(沈鎰·1923~1951) 소령의 흉상.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6·25 전쟁영웅인 심일(沈鎰·1923~1951) 소령의 흉상.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그런데 춘천 전투 당시 7연대 1대대 1중대장이었던 이대용 전 주월(駐越) 공사가 교전 나흘간 상황과 군 배치도 등을 꼼꼼히 기록한 자료를 건네줬다. 이런 의견이 첨부돼 있었다. '우리 군은 과거에 저지른 허위 날조의 오류를 과감하게 바로잡아 정도(正道)를 당당히 걸어가야 한다. 예비역 육군 준장 이대용.'

놀랍게도 91세 노병(老兵)이 바로잡으려는 것이 바로 심일 소령의 영웅담이었다.

"이렇게 거짓 신화가 만들어질 줄은 그때는 누구도 몰랐다. 춘천 전투에서 심일 소대장은 육탄 돌격이 아니라 도망을 갔다. 나는 바로 위 고지에서 그 상황을 볼 수 있었다. 중과부적이었다. 하지만 대전차포 1문을 적(敵)에게 넘겨주고 달아난 것은 문제가 됐다. 그의 중대장은 격노해 '총살감'이라며 상부에 보고했다."

심일은 보직 해임됐고, 뒤에 한직(閑職)인 포병 연락장교를 맡았다. 국군이 북진했다가 중공군의 개입으로 퇴각할 때는 그 속에 있었다. 1951년 1월 26일 그는 다른 장교 1명, 사병 3명과 함께 묘향산 화전민 움막에 숨어들었다. 하지만 중공군에게 바로 포위됐다. 그는 사병 한 명과 함께 뒷문으로 뛰어나가다 총에 맞아 숨졌다. 그때 28세였다. 다른 세 명은 중공군의 포로가 됐다. 며칠 뒤 이들 중 장교는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 탈출했다. 그 장교를 통해 심일의 전사(戰死) 사실이 확인됐다.

지난 2014년 6월 27일 강원 춘천시 신북읍 102보충대 앞에서 6·25전쟁 당시 심일 소위와 육탄 용사들이 북한군의 전차를 제압하는 장면이 연출되고 있다. /연합뉴스[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지난 2014년 6월 27일 강원 춘천시 신북읍 102보충대 앞에서 6·25전쟁 당시 심일 소위와 육탄 용사들이 북한군의 전차를 제압하는 장면이 연출되고 있다. /연합뉴스[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심일 부모는 7연대로 찾아와 "학병으로 나간 셋째도 생사불명이다. 공비 토벌을 했던 경찰인 둘째는 죽을 병에 걸렸다. 큰아들(심일)마저 죽었으니, 이제 젖먹이 막내만 남았다"며 울었다. 이에 후임 연대장이 "훈장을 하나 받아주겠다"고 약속한 뒤 돌려보냈다.

부관이 "심일은 춘천 전투에서 달아났고 훈장을 줄 만한 전공이 없다"고 보고하자, 연대장이 "야 인마, '노몬한 전투(1939년)'식으로 하면 되잖아. 만주에서 일본군이 육탄 돌격해 소련군의 탱크 뚜껑을 열고 수류탄 까 넣었던 거 말이야. 아들을 이렇게 많이 나라에 바쳤는데 훈장을 만들어 줘야지"라고 호통쳤다.

비록 조작이지만 선의(善意)가 바탕이 됐던 것이다. 1951년 10월 심일에게 태극무공훈장이 나왔다. 그 부모에게 훈장을 전달해준 뒤 끝난 걸로 여겼다.

그런데 국방부 정훈국 장교가 우연히 훈장 상신서를 보고 '대단한 영웅을 발견했다'며 국방 잡지에 소개했다. 이를 심일의 육사 시절 교관이었던 대령이 보고는 "교관 시절 생도들에게 '노몬한 전투'로 정신교육을 했는데 심일이 그대로 실천했다"고 퍼뜨렸다. 군 수뇌부와 친했던 그는 스토리를 하나 더 지어냈다. "중공군에게 포위됐다가 탈출한 심일이 나를 찾아왔기에 수색중대장 보직을 줘 영월 전투에 내보냈는데 적탄에 숨졌다." 그렇게 해서 영월에 심일의 위령비가 세워졌다.

거짓 신화가 만들어지는 걸 왜 그때 바로잡지 못했을까. 이대용 전 공사는 이렇게 술회했다.


 

지난 2006년 6월 6일 원주시 태장동 현충탑 내 소공원에 세워진 심일 소령의 동상. /연합뉴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지난 2006년 6월 6일 원주시 태장동 현충탑 내 소공원에 세워진 심일 소령의 동상. /연합뉴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1970년대 무렵 춘천 전투 당시 연대장과 만나 '심일 부모님이 돌아가신 다음에 바로잡자'고 논의했다. 그런데 심일의 모친은 만 100세까지 살고 2005년 별세했다. 그 전에 연대장이 먼저 숨졌고, 전우들도 저세상 사람이 됐다. 결국 살아있는 내 게 책임이 남게 됐다."

그는 그동안 국방부와 6·25 전사편찬위원회에 이런 증언을 전했다. 하지만 '신화'로 굳어진 것을 이제 와서 바로잡기를 부담스러워했다. 언론에 몸담아 보면, 사실을 기록하는 것에는 때로 용기가 필요하다. 더욱이 모든 사람이 사실로 믿고 싶어 하는 것을 사실이 아니라고 바로잡으려 할 때는 자신의 모든 것을 걸어야 할 만큼 위험하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