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DMZ 지뢰 도발]

- 11년만에 확성기 방송 재개
北 '김정은 체제 고발'에 민감
軍 "확성기 피격땐 원점 포격"

군 당국이 10일 오후 DMZ(비무장지대) 일부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격 재개한 것은 북한이 가장 부담스러워 하는 '아킬레스건'이 확성기 방송이기 때문이다. 합참은 이날 대북 경고 성명에서 "북한의 도발에 상응하는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고 했는데, 그 첫 조치를 내놓은 것이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전단과 함께 대표적인 대북 심리전 무기다. 군은 2010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도발에 따른 5·24 대북 제재조치의 하나로 이를 재개키로 했었다. 하지만 확성기가 DMZ 인근에 설치됐지만 가요 등을 틀어주는 FM 방송만 내보냈을 뿐 직접 심리전을 수행하는 확성기 방송은 하지 않았다.
 

국방장관 10년만에 최전방 소초 방문 - 한민구(왼쪽 둘째) 국방장관이 10일 지뢰 폭발사건이 발생한 최전방 소초(GP)를 방문해 북한 GP를 바라보고 있다. 한 장관은 “적이 도발하면 과감하게 대응하라”고 말했다. 국방장관의 GP 방문은 10년 만이다. /국방부 공동취재단[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국방장관 10년만에 최전방 소초 방문 - 한민구(왼쪽 둘째) 국방장관이 10일 지뢰 폭발사건이 발생한 최전방 소초(GP)를 방문해 북한 GP를 바라보고 있다. 한 장관은 “적이 도발하면 과감하게 대응하라”고 말했다. 국방장관의 GP 방문은 10년 만이다. /국방부 공동취재단[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그러나 군 당국은 이번에는 중·서부 전선을 포함해 2개소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했다. 또한 밤에도 불규칙적이고 지속적으로 방송을 무기한 실시할 계획이다. 확성기 방송 내용은 북한을 비방하는 내용보다는 우리 체제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북한 도발의 부당성을 알리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군 소식통은 전했다.

북은 그동안 확성기 방송을 포함한 대북 심리전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다. 남북 대화 조건으로 김정은에 대한 '모독' 보도 및 한·미 군사 훈련 중단과 함께 심리전 중단을 3대 조건으로 내세울 정도였다.

김정은 정권 입장에서는 외부 정보의 유입, 특히 3대 세습과 김씨 일가의 비리 등 독재 권력 내부의 부도덕성을 고발하는 정보를 무엇보다 두렵게 생각해 왔다. 확성기 방송과 전단 살포 등 심리전은 물자가 부족하고 전력 사정이 좋지 않은 북한 입장에서는 남한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위(劣位)에 놓인 비대칭 전력이다. 북한이 확성기 등 대북 심리전에 대해 '조준 사격' 위협을 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군(軍)이 대북(對北) 확성기 방송을 마지막으로 한 것은 지난 2004년이다. 그해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합의에 따라 확성기 방송은 중단됐다. 북한의 방송 중단 요구에 따른 것이다.

이번 지뢰 폭발 사건 이후 군 당국은 확성기 방송 재개 외에 북한 최전방 소초(GP)를 포격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북한에 추가 도발의 빌미를 주거나 확전(擴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유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군은 북한이 우리 확성기 시설을 타격하는 등 추가 도발을 할 경우 K-9 자주포 등을 동원해 도발 원점(原點) 등을 때릴 계획이다.

북한 도발에 대비해 경기도 파주와 연천 일대 주민들의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이북 지역 진입도 통제했다.

군 당국은 또 북한의 반응을 봐가며 이달 말 실시되는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과는 별개로 B-2 스텔스폭격기·F-22 스텔스전투기의 한반도 출동을 미측에 요청키로 했다. 북한이 도발 수위를 높일 경우 북한이 가장 예민해하는 이른바 '최고 존엄'과 관련된 상징물(김일성·김정일 동상 등)을 훼손하거나 타격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