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를 한반도 대동맥으로] 국가건축委 보고서

-東은 평화공원·西는 통일도시
국제기구·각국 대사관 유치… 동해안 국제관광 허브 구축

-DMZ 주변에 新산업 벨트
新재생 에너지 파크 등 조성… 작은 개성공단 수십개 효과

-경원선 따라 東西운하 추진
도로·가스망 함께 깔면 北·러시아도 참여 가능

 
국가건축정책위원회(위원장 김석철)가 마련한 'DMZ(비무장지대) 개발 플랜'은 지난 60여년간 한반도의 허리를 갈라온 DMZ를 남북 교류와 개발을 위한 대동맥으로 바꾸는 '한반도 대전환(大轉換) 구상'이다. 폭 4㎞, 길이 248㎞의 DMZ는 한반도의 중심부에 있으면서도 오랜 기간 버려진 땅이었다. 이곳에 물류와 산업·관광·에너지 인프라를 조성, 남북이 경제적으로 윈윈할 수 있는 한반도의 블루오션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東에는 평화공원, 西에는 통일 도시

우선 DMZ 서쪽 임진강 하류에는 국제평화도시(미래통일도시)를 조성, 유엔의 유라시아 지역 본부와 국제기구, 각국 대사관과 외교·안보 관련 단체, 각종 생태·환경 연구 기관, 컨벤션·전시관 등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60여년간 한반도의 허리를 갈라온 DMZ(비무장지대)와 철책선을 따라 서있는 한국군 경계초소(GP)의 모습. /정경열 기자
지난 60여년간 한반도의 허리를 갈라온 DMZ(비무장지대)와 철책선을 따라 서있는 한국군 경계초소(GP)의 모습. /정경열 기자

상징적으로 통일 국회와 일부 행정부처, 국립박물관 등도 옮기는 안이 포함됐다. DMZ가 더 이상 분단 현장이 아니라 국제 외교 중심이자 평화의 상징으로 거듭나도록 한다는 것이다.

DMZ 동쪽에는 평화·관광·생태 콘셉트의 세계평화공원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유력 후보지는 동해안과 접한 강원 고성군 군사분계선 지역이다. 가로세로 2㎞ 넓이 공원에 한국전쟁 참전 21개국 정원(庭園)과 참전 군인 추모 묘역, 박물관·공연장·전시관·식물원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곳을 금강산·설악산과 함께 대형 국립공원으로 지정, 동해안 국제 관광 허브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한국전쟁 및 궁예 관련 유적지가 많은 강원 철원군도 북한 마식령과 연계한 문화·관광 공원으로 개발할 잠재력이 높다는 평가다. 손기웅 한국DMZ학회장은 "DMZ는 유엔이 관할하는 곳이므로 미·중·러 등 국제사회가 함께 개발에 참여하면 북한이 개성공단과 금강산처럼 함부로 폐쇄할 수 없다"며 "국제적으로 보장된 유라시아 연결 통로를 확보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했다.

◇DMZ 둘러싼 신(新)산업 벨트 조성

국가건축정책위는 평화공원 등이 들어서는 DMZ 안쪽보다 DMZ를 둘러싼 주변 지역을 더 주목하고 있다. DMZ라는 친환경 공간은 그대로 살리되, 사실상 방치돼 있는 DMZ 남북 지역 15㎞씩을 최대한 활용하자는 것이다. DMZ가 뉴욕의 센트럴 파크라면 그 주변을 맨해튼처럼 개발하자는 의미다.

DMZ 주변에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파크를 조성하고, 농축산업과 제조업 등이 결합된 소규모 거점 도시를 연이어 만든다는 계획이다.

[통일이 미래다] DMZ 산업벨트·경원선 복구·東西관통 운하… 한반도 허리 살린다
[통일이 미래다] DMZ 산업벨트·경원선 복구·東西관통 운하… 한반도 허리 살린다

이럴 경우 DMZ를 둘러싼 한반도의 허리에 폭 30㎞, 길이 200㎞가 넘는 친환경 신(新)산업 벨트가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작은 개성공단이 수십 개 만들어지는 것과 비슷하다. 김석철 위원장은 "통일 한국의 경제가 움직일 새로운 수레바퀴를 DMZ에서 찾아야 한다"고 했다.

◇경원선 따라 동서 운하 추진

'DMZ 개발 플랜'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경원선과 동서 관통 운하다. 경원선은 원산에서 서울까지 '추가령 구조곡'이라는 낮고 평평한 골짜기 지형을 따라 나 있다. 경원선을 복구하면서 이곳에 운하와 고속도로를 뚫고 그 아래에 파이프라인과 전력선, 수로 등을 함께 건설하자는 구상이다. 운하가 임진강과 한강, 경인운하를 거쳐 인천까지 이어지면 동·서해를 오가는 물류 수송이 가능해진다.

통일연구원 조한범 선임연구위원은 "DMZ 주변의 경원선로 18㎞만 연결하면 서울에서 러시아까지 이어질 수 있다"며 "도로·가스망 등을 함께 깔면 경제성이 높아 북한과 러시아가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북한 금강산·포천·내평댐 등에서 지하 수로를 통해 동서 운하로 물길을 튼 뒤 수도권에 공급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경원선과 DMZ 지역을 수도권에 물과 에너지를 공급하는 원천이자 통로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이상준 국토연구원 한반도·동북아연구센터장은 "DMZ 개발은 한반도 전체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안보 위협 요인을 없애는 길"이라며 "다만 북 군부의 반발을 누그러뜨리는 것이 관건"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