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붕괴로 시끌벅적한 평양시를 벗어나 군부대 방문에 열중이던 김정은이 이번엔, 평안북도 소재 ‘룡문술공장’을 현지지도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하다가하다가 별짓 다 한다는 생각에 이어 머리를 스쳐가는 북한의 술 이야기를 간추려 본다.

김정은이 술공장까지 간 까닭은?

술은 사람의 정신을 흐리게 하는 마약과 같다며 통제의 끈을 놓지 않는 북한이지만, 명절 때 마다 세대별 술 공급을 소홀히 하지 않는 북한이기도 하다.

명절이 다가오면 세대 당 1병씩 공급하는 꼴인데,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들에겐 공급받은 술의 용도가 참으로 다양하다. 이웃 간의 선물일수도 있고, 뇌물일수도 있으며, 장마당에 내다 팔면 국정가격과 장마당가격 차이에 따른 이익금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익금이라고 했다. 2014년 5월 현재 북한의 장마당에서 파는 술은 1병에 1,300원이고 명절공급용(국정가격)으로 상점에서 파는 술은 1병에 120원이다.

 
 
장마당의 술 이야기를 좀 더 자상히 하면 량강도 혜산장마당의 경우 위에서 말한 일반술(병술) 외에 주로 집에서 담근 밀주가 나오곤 하는데, 1ℓ 가격이 2,500원 정도이다. 중국산 빼주의 경우(병의 크기와 알코올 농도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대략 8위안에서 10위안에 거래되고 있다.

8위안이면 북한 돈 9,600원이다. 북한노동자 한 달 월급은 3,000원 정도이며 장마당에서 거래되는 쌀 1㎏ 가격은 대략 4,000원이다! 노동자 한 달 월급으로 쌀 1㎏을 살 수 없고, 술 두 병을 겨우 살 수 있으며, 중국산 빼주는 꿈도 꾸지 못하는 것이 북한의 현실이란 이야기다.

그럼에도 술은 북한의 장마당에서 빼놓을 수 없는 물건(?)이다. 그 비싼 술을 누가 사서 마시는 가고 하겠지만 ‘파는 사람도 마시고, 마시는 사람도 파는 것이 술’이며 ‘있는 사람은 있어서 마시고 없는 사람은 없어서 마시는 게 북한의 술’이다.

'있는 사람은 있어서 마시고 없는 사람은 없어서 마신다'

90년대 중반, 이른바 식량배급 중단사태가 들이닥쳤을 때 북한의 거의 모든 솥들은 ‘구리 관을 머리에 이고 술을 빚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다량의 밀주가 만들어 졌고, 그 ‘전통’은 ‘백두의 혁명전통’보다 더 광적으로 전해지고 있다는 것이 탈북자들의 전언이다.

“맨 정신으로는 살아가기 힘든 곳이 북한이다”라고 탈북자들은 말한다. “술에 의지하지 않고서는 단 하루도 살아가기 힘든 곳이 북한이다”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렇게 장마당과 역전 등지의 선술집에서 확산되고 있는 서민들의 술 문화와는 별개로 ‘고급’과 ‘사치’가 곁들어진 술 문화도 있다.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평양의 양각도 호텔 내엔 이집션 팰리스 나이트클럽(Egyptian Palace Nightclub)이 있다. 외국인 전용으로 마카오인이 운영하고 있으며, 같은 한 건물 내에 술집, 사우나, 안마시술소 등이 두루 갖추어져 있다.

 
 
주체사상탑 근처(평양시 선교구역)에도 ‘더 디플로마틱 클럽(The Diplomatic Club)’이란 외국인 전용 술집이 있으며 이곳에서 파는 술은 헤네시, 마르텔, 봄베이 사파이어, 앱솔루트, 조니워커, 발렌타인, 잭다니엘 등으로 ‘폐쇄된 공화국 내의 별세상’으로 통하고 있다.

그럼에도 외화벌이를 위한 것이고 또 외국인 전용이라고 하니 이를 바라보는 주민들의 마음이 조금은 관대하다는 것이 평양에서 생활하던 탈북자들의 전언이다.

노래방에서는 폭탄주 유행

하지만 평양 고려호텔 뒤편 ‘음식거리’나 ‘옥류관’별채, ‘향만루’와 평양시 곳곳에 새롭게 자리 잡고 있는 노래방들에서 벌어지는 술판에 대해선 참을 수 없음을 성토하고 있다.

이곳 식당과 노래방들에는 한국의 레스토랑을 흉내 낸 고급 술집들이 즐비하다. 고려호텔이나 청춘호텔 등에도 고급 술집이 들어서 있으며 어둠과 함께 이곳은 환락의 장소로 탈바꿈된다.

백성들은 꿈도 꾸지 못하는 이곳에서 노동당간부들을 위시한 권력자들은 북한주민들이 평생을 벌어도 손에 쥐지 못할 엄청난 돈을 하루 밤사이에 탕진해 버린다.

이런 곳에서는 주로 저가 외국 브랜드 양주가 나오곤 하지만 ‘헤네시XO'등 고가의 술도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사업을 논한다‘며 마시고 ’가정의 중대사가 있다‘며 술판을 벌려놓군 하는 당 간부나 군부 고위층들에겐 1병에 1000달러가 넘는 고급 양주도 우습게 보일 수 있다는 증언도 나온다.

술 마시는 형식도 다양해 한국의 폭탄주 제조기술이 모두 전수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빈 맥주잔에 양주를 부은 뒤 술잔을 넣고, 여기에 맥주를 부어 양주잔을 가라앉도록 해 술을 섞는 방식이 가장 보편적인 것이라면, 여러개의 맥주 컵 위에 술을 담은 양주잔을 놓고 차례로 가라앉히는 방식도 선보이고 있다.

이런 식의 술자리엔 반드시 여성들이 동반한다. 2006년 이후 본격 보급된 노래방의 역할에 더해, 간부들의 ‘방탕한 술 문화’가 만들어낸 합작품이라고 하지만, 어찌보면 기쁨조를 대동하고 폭음하기를 밥 먹듯 했던 김정일에서 비롯된 북한의 신 술 풍이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아비에 그 자식이라고 김정은도 예외가 아니다. 아비를 꼭 빼닮아 이번 설에도 3,000여명의 당, 정, 군 간부들에게 선물(태평/ 인삼) 술을 하사했다니 선물이 부디 술인 이유가 궁금하고 이번에도 부득 부득 술공장을 찾아갔던 이유가 궁금하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