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남한은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지역이지만, 전체 면적의 80%가 산지인 북한은 산림 황폐화로 2000년대 들어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지역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이우균 교수팀은 1981년부터 2010년까지 30년 동안 남북한의 온실가스 흡수·배출량을 따진 '탄소수지'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남북한의 토지 이용 상황 등을 수치 모델에 넣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1980년대까지만 해도 남북한은 해마다 연간 ㏊당 온실가스를 각각 1.09tC(탄소톤, 온실가스의 단위로 온실가스를 탄소로 환산해 나타낸 무게)와 0.83tC를 흡수하는 지역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 남한 지역은 연간 1.09tC/㏊로 1980년대와 비슷하게 온실가스를 흡수한 반면, 북한 지역은 온실가스를 연간 0.23tC/㏊만 흡수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상황이 더 악화돼 북한 지역은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곳이 아니라 해마다 0.04tC/㏊ 배출하는 곳으로 바뀌었다. 2000년대 남한 지역도 연간 온실가스 흡수량이 0.66tC/㏊ 정도로 1980~90년대에 비해 줄었다.

이처럼 북한이 30년도 지나지 않아 온실가스 흡수 지역에서 배출 지역으로 바뀐 까닭은 '산림 황폐화' 때문이라는 것이 연구팀 설명이다. 1980년대와 특히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기를 거치며 북한에선 연료 등으로 나무를 많이 베어 민둥산이 많아져 온실가스 배출량이 흡수량을 초과하게 됐다는 것이다. 고난의 행군이란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이후 홍수 등 자연재해까지 겹치며 수백만 명의 아사자가 발생한 시기를 일컫는다.

이우균 교수는 "인도네시아 등의 열대림 파괴뿐 아니라, 북한도 허술한 토지 관리로 국제적 온실가스 배출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에서 국제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27~29일 서울에서 열리는 '전 지구 탄소프로젝트(GCP) 과학위원회'에도 소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