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rfa.org/korean 런던-김동국 xallsl@rfa.org

Maldon College에서 시민권 시험 공부를 하고 있는 영국 탈북민들.RFA PHOTO/ 김동국
Maldon College에서 시민권 시험 공부를 하고 있는 영국 탈북민들.RFA PHOTO/ 김동국
영국에 처음으로 탈북난민들이 첫발을 밟은 지가 딱 10년입니다.

중국과 동남아를 거쳐 태국 유엔난민고등판무관 사무소에서 난민지위를 얻어 2004년 처음으로 영국에 정착한 김창호 씨 가족 3명으로부터 이제는 600여명이 정착해 살아가고 있습니다.

영국 시민권 취득 정책은 망명허가 비자를 받고 5년을 살면 영주권 취득이 가능하고, 영주권 취득 이후 일년이 지나면 시민권 신청이 가능합니다.

대부분 탈북난민들이 2007년, 2008년 사이에 많이 영국으로 유입 되였기 때문에 80퍼센트 이상의 영국정착 탈북민들이 현재 시민권 신청 권리가 주어지거나 시민권 신청이 가능합니다.

북한에서 기업소 선전대 대장을 하다가 2007년에 영국에 정착한 가명의 박영민씨는 이번 4월에 영국시민권을 신청하게 됩니다.

박씨는 북한을 탈출한 후 여러 국가를 거쳐 영국까지 왔지만 지금까지 시민이 누려야 할 권리를 제대로 못 누리고 살아 왔다며 시민권자가 된다는 것은 나에게도 주권이 주어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가슴 뿌듯하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박영민: 비자를 받고 살 때에는 이 나라에서 그저 산다, 마음 놓고 살수 있다 이런 생각이었지만시민권을 신청하고 보니까 아, 나도 이젠 영국 시민이 되는구나 이런 자부심도 있고 이 나라를 위해 아무것도 한 것도 없는데 내가 영국시민이 되면 내가 뭘 어떻게 해야 되겠구나 하는 그런 생각도 가지게 되고 어째든 영국시민이 됐다는 그 자체가 마음이 좀 뿌듯하죠.

영국에 거주하는 탈북민들이 망명비자 허가를 얻어 5년동안 살다가 영주권을 취득할 때가 되면 신청서를 제출만 하면 자동으로 영주권이 부여 됩니다. 하지만 시민권은 시험을 봐서 통과가 되어야 합니다. 영국은 시민이 될 수 있는 자격을 시험을 통해 검증합니다. 영국 시민권 취득 시험은 한번 불합격이 되여도 다시 볼 수가 있으며 합격이 될 때까지 재 도전이 가능합니다.

쉽게 말해 영국 시민이 되려면 일정한 정도의 영어도 구사할 줄 알아야 되고, 영국의 역사나 생활풍습, 정치제도 및 사회제도 등을 상식적으로 알고 있어야 시민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요즘 뉴몰든 탈북민 사회에서는 시민권 시험을 치르기 위한 영어공부 열풍이 한창입니다. 75세 이상의 고령자들을 빼고는 누구나 시민권 시험을 봐야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이죠. 북한에서 설계사로 있다 현재 영국에 영주권 상태로 있는 가명의 장정남씨는 이제 치르게 될 시민권 시험을 준비하느라 눈뜰새 없이 바쁘게 삽니다. 낮에는 회사에 나가 열심히 일을 하고, 저녁에는 책을 펼쳐놓고 영어공부를 하느라 정신이 없습니다.

올해 40대인 장씨는 북한에서 학교 다닐 때 자신은 공부라면 남이 일등을 했다고 하면 섭섭했을 정도로 머리가 좋았는데 지금은 어떻게 된 영문인지 통 머리에 글이 들어오지 않는다며, 우스개 소리로 은근슬쩍 시민권 취득의 자랑을 늘어놓습니다.

장정남: 이젠 아무래도 나이도 사십 대 중반이고 하니까 그때 보다는 많이 기억능력도 떨어지고… 아무튼 모국어가 아니지 않습니까? 영어니까, 그때하고는 많이 차이가 나죠. 하지만 꼭 해야 되는 사안이니까 제가 요즘 틈이 나는 대로, 시간이 나는 대로 책을 보고 암기도 하고 있는데요, 분량도 많고 life in the UK 라는 것이 영국의 역사와 사회 문화 등 상당히 포괄적으로 이 나라 역사에 많이 포함이 되여 있더라고요, 어찌거나 처음 접하는 것들이니까 쉽지가 않네요.

영국 시민권자가 된다는 것은 시민이 누려야 할 권리와 의무가 주어 지는 것입니다. 백인들의 멸시와 천대를 받던 흑인이 미국 대통령이 되는 자유민주주의 시대에서 탈북민 출신의 시민권자가 영국의 총리가 되는 그날도 머지않아 기대해 본다며 영국 거주 탈북민은 오늘도 시민권 공부라는 새로운 도전에 나섭니다.

- 홈페이지에 방문하시면 더 많은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