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자유아시아방송 송영대∙ 평화문제연구소 상임고문

북한이 올해들어 산림녹화 운동을 벌이는 것과 때를 맞춰 남한 민간단체들에 의한 대북 나무심기 지원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최근 상업위성으로 촬영한 한반도 사진을 보면, 휴전선 남쪽은 푸른 숲이 많아 녹색으로 보인 반면 북쪽은 산에 나무가 없어 누런색으로 나타납니다. 북한의 산이 황폐화된 것은 연료부족으로 인해 주민들이 난방과 취사를 위해 나무를 마구 베어냈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민둥산으로 인해 잦은 홍수와 산사태가 발생하자 식량생산이 줄어들고 이 때문에 다락밭이라도 만들자며 나무를 또 베어내는 악순환이 계속돼왔습니다. 이같은 상황에서 김정은이 2012년 4월, ‘산림복원 10개년 계획’을 지시한데 이어 올해 신년사를 통해서도 나무심기를 전 군중적 운동으로 벌일 것을 강조했습니다. 목표는 2023년까지 무입목지 168만ha에 총 65억 그루의 나무를 심는 것입니다.

국제기구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북한 전체 산림면적의 32%인 284만 핵타르가 황폐화 돼 있는 상태입니다. 1990년 820만 핵타르에 달했던 북한의 산림은 2011년엔 554만 핵타르로 줄어들었습니다. 해마다 평양시 크기의 산림이 사라지고 있는 셈입니다. 그리하여 세계에서 3번째로 산림 황폐정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런 북한 산림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남한 돈 32조원이 들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시간이 갈수록 비용은 눈덩이처럼 커진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습니다.

북한당국이 산림녹화를 강조하고 있지만 자체노력만으로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북한주민들이 식량과 에너지 부족으로 생계를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땔감채취와 다락밭에서의 식량조달을 포기하고 나무심기에 적극 참여하기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나무심기와 연료 및 식량공급 문제가 병행적으로 추진되는 근본대책이 수립돼야 합니다. 그것은 양묘와 조림, 연료 및 식량대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복합정책을 시행하는데 있습니다. 즉 같은 토지구획 안에서 농작물과 임업, 목축업 생산을 함께하는 ‘임농(林農) 복합경영’이 북한에 가장 적합한 방안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바이오가스 등 대체 에너지를 개발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녹색 기후기금’ 등 국제기구의 지원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같은 방식은 남한이 1970년대 초 새마을 운동에서 활용해 큰 성과를 본 것으로써, 오늘의 북한 지역에도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남한에서 북한산림 녹화를 지원하기 위한 민간기구인 ‘아시아 녹화기구’가 발족됐는데 이 단체에서도 ‘임농 복합경영’을 염두에 두고 지원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남북한과 국제기구가 상호 협력하여 추진할 때, 북한 산림녹화 운동은 실질적인 결실을 보게 될 것입니다.

그 결과 북한 입장에서는 땔감, 식량, 사료 등이 동시에 해결되고 북한 산림 황폐화가 초래할 남한 생태계 파괴를 막을 뿐만 아니라 통일비용도 줄이는 혜택을 가져올 것입니다. 더 나아가 이 사업이 잘 추진 될 경우 ‘푸른 한반도 만들기’와 남북경제 협력의 새 장을 열수도 있을 것입니다.

남한 정부도 남북 산림협력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이를 지원할 방침으로 있기 때문에 북한당국도 열린 마음으로 호응함으로써, 녹색통일의 길을 열어나가야 할 것입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