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북한의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854달러, 남한의 1976년 수준과 비슷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구조와 교역 역시 우리나라의 1970년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6일 북한 전문 매체 데일리NK에 따르면 현대경제연구원은 ‘2013년 북한 GDP 추정과 남·북한의 경제사회상 비교’라는 보고서에서 “지난해 북한은 기상 여건 개선으로 곡물 생산량이 증가하고 광공업 투자가 늘어나 1인당 명목 GDP가 전년 대비 39달러(4.8%) 증가한 854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가 1976년 기록한 1인당 명목 GDP 807달러와 유사한 수준이며,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명목 GDP 2만 2828달러의 3.8%에 불과하다. 1인당 명목 GDP만 놓고 봤을 때 우리나라와 40여 년의 경제적 격차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1인당 명목 GDP가 북한과 비슷한 나라는 최빈국으로 꼽히는 방글라데시(899달러)와 미얀마(915달러)정도 밖에 없다.

1인당 명목 GDP뿐만 아니라 산업구조 역시 우리나라의 1970년대 수준과 유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한의 산업구조는 농·어업이 23.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1차 산업 비중이 높았던 1970년대 우리나라의 산업구조와 비슷하다. 농업·광공업 등 다른 경제부문도 우리나라의 1970년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교역 수준도 국제적인 고립으로 인해 여전히 정체 상태다. 지난해 북한의 수출액은 28억 8000만 달러, 수입액은 39억 3000만 달러로 우리나라의 1970년대 초반 수준에 그쳤다. 지난해 우리나라 교역액의 0.6%에 불과하다.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남북 소득격차가 큰 상황에서 통일이 되면 비용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통일 전에 남북 간 경제력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경제협력 활성화를 통해 북한 경제의 자생력을 높이고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계속 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