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해 분조관리제, 포전관리제를 실시한 결과 농장원들의 살림이 나아졌다는 주장과는 달리 지역마다 그 느낌은 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황해남도에서 최근 중국에 나왔다는 한 주민은 “지금 조선에서 분조관리제 덕분에 농민들 생활이 괜찮게 되었다는 말은 전부 맞지 않다”면서 “황해도 지방 농민들은 분배를 제대로 받지 못해 벌써 양식이 떨어진 집들이 꽤 많다”고 23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그는 “지난해 가을걷이를 하는 족족 평양시에서 수도 공급미를 날라 갔고, 군대들도 차를 가지고 탈곡장에 들이닥쳐 겉곡으로 식량을 공수해갔다”고 말했습니다.

겉곡은 탈곡하지 않은 곡물로, 황해도에 주둔한 4군단 군인들은 할당된 식량을 먼저 확보하기 위해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로 바로 인수해갔다는 것입니다.

또 시민들에게 백미를 배급해야 하는 평양시도 쌀이 많이 나는 연백벌과 재령벌 등지로 집중하면서 황해도 지방의 식량 공출이 다른 지역보다 많아졌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이로 인해 황해도 지방 주민들은 비록 분조관리제로 곡물생산이 다소 증대되긴 했지만, 자기들은 1년 먹을 식량을 충분히 받지 못했다고 불만이 많다는 것입니다.

북한은 지난해 분조관리제를 실시하면서 국가에서 지원한 비료와 농기구 비용을 뺀 전체 수확물 가운데 국가식량 수매곡을 제외한 나머지 잉여 생산물을 농민들이 자체로 처분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습니다.

하지만, 농민들은 곡물을 직접 생산하고도 수도미와 군량미에 순위가 밀려 자기 먹을 식량도 챙기지 못했다고 불만이 많다고 그는 지적했습니다.

이 황해도 지방 주민은 “지금 조선 장마당에서 쌀값이 4천원으로 떨어져 농민들한테는 더 큰 타격”이라면서 “어차피 쌀을 팔아야 생필품을 사다 쓸 수 있는 농민의 입장에서는 아이들에게 신발 한 켤레 사주기도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최근 연락이 닿은 평안북도 박천군의 주민 양 모씨는 “황해도 지방은 워낙 벌방이어서 소토지 농사도 못한다”면서 “모든 땅이 국가경작지로 되어있기 때문에 황해도 농민은 국가에서 주지 않으면 굶을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습니다.

대신 산이 많은 평안북도와 자강도 일대 농민들은 여전히 자기가 부치던 소토지에서 농사를 지어 예상외의 식량 여유분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고 양 씨는 말했습니다.

북한은 이달 초 평양에서 전국 농업부문 분조장 대회를 열고 지난해 포전담당책임제를 실시한 결과 알곡생산에서 전례 없는 성과가 이룩됐다고 적극 치켜세웠습니다.

출처 - 자유아시아방송 워싱턴-정영 jungy@rfa.org
<더 다양한 자료는 홈페이지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