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사회硏·本紙 '통일 인구 포럼']
1990년대 고난의 행군때 성장한 北 10·20代에도 지원 필요…
통일한국 생산가능 인구 늘려야
통일후 결혼·출산율 떨어질 수도… 인구 통합 부작용 막을 대책 시급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조선일보 공동 주최로 21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인구포럼’에서 참석자들이 통일 후 인구와 사회복지 문제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이태경 기자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조선일보 공동 주최로 21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인구포럼’에서 참석자들이 통일 후 인구와 사회복지 문제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이태경 기자

21일 조선일보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통일 한국의 적정 인구: 통일 대박으로 가는 길'을 주제로 공동 주최한 인구포럼에서 이석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통일 후 북한 여성들이 현재의 남한 여성처럼 사회 활동에 적극 편입할 경우 결혼율·출산율이 떨어지면서 고령화 추세만 뚜렷해질 수 있다"고 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럴 경우 통일 한국의 생산 가능 인구 비중이 개선되지 않고 사회복지의 대상이 되는 '특이 인구'가 전체 인구의 30%에 이르는 재앙적 상황이 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통일에 따른 부정적 인구 충격'을 완화·흡수하기 위한 대책을 지금부터 마련해서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북한 영유아·임신부 지원 확대해야

가장 먼저 해야 할 일로는 국제사회를 통해 북한 인구센서스를 실시토록 하는 방안이 꼽혔다. 1945년 분단 이후 북한은 1993년과 2008년 두 차례밖에 인구센서스를 실시하지 않았다. 두 번 모두 우리 정부가 예산을 투입해서 유엔이 조사한 것이었다. 이 연구위원은...

/기사 원문은 프리미엄조선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