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단둥과의 접경지역인 신의주는 대중국 진출 전략지로서 산업입지 잠재력이 높다. 북한 신의주와 중국 랴오닝성 단둥을 잇는 조중우의교(압록강대교)
중국 단둥과의 접경지역인 신의주는 대중국 진출 전략지로서 산업입지 잠재력이 높다. 북한 신의주와 중국 랴오닝성 단둥을 잇는 조중우의교(압록강대교)

남북통일은 남한 기업들에게 기회이면서 도전이다. 어떻게 준비하는가에 따라 결과는 확연히 달라진다. 통일 후 한반도의 산업은 어떻게 재편될까. 자본과 기술력을 갖춘 남한 기업들은 북한의 어떤 지역으로 진출하는 것이 유리할까. 북한의 산업 현황에 따른 통일 후 한반도의 산업지도를 가상으로 그려봤다.

통일 이후 북한의 산업구조는 급격하게 재편될 전망이다. 기존 산업시설을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이미 북한의 많은 국영기업들은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조업을 하고 있는 대부분 기업들의 가동률도 크게 낮은 상황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개성공단 입주업체 대표는 “개성이나 평양 인근 지역에 있는 대부분의 공장이 문을 닫은 상태였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통일 이후에도 생존할 수 있는 북한 기업은 매우 제한적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북한의 주요 산업별 기술수준은 업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남한에 비해 최소 5년에서 최대 30년까지 뒤져 있다. 기술 격차로 인해 우리 기업이 쓸 수 있는 시설이 거의 없다는 얘기다.

 
 
건설·관광·지하자원개발·물류산업 특수

북한은 산업의 기반과 경쟁력이 취약하지만 이는 반대로 통일 이후 북한 지역 산업의 개발 잠재력이 높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북한의 산업은 중공업 위주의 정책에 따라 그나마 기계공업의 기반이 갖춰져 있으며, 석탄을 원료로 한 화학공업의 발전 가능성이 높다. 낙후되고 빈약한 경공업은 기술혁신에 따라 크게 성장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와 높은 교육 수준의 노동력은 북한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이석기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통일 이후 북한에 새로운 입지를 공급해 산업을 육성하고, 풍부한 지하자원에 자본이 투입되면 북한 산업이 급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통일 이후 초기에는 남한의 자본과 원자재를 이용한 임가공 수준의 산업구조가 불가피한데 북한 주민이 활발한 창업을 통해 중소기업이나 자영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남한에서 경쟁력이 약화된 산업들의 유휴 설비를 북한지역으로 이전해 남한은 성장하는 첨단산업 중심으로, 북한은 노동집약적인 경공업 중심으로 분리 발전시키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다.

(중략)

삼성·LG전자의 가전부문, 현대·기아 자동차, 롯데·CJ·신세계는 평양·남포 지역이 유리하다. 포스크와 효성은 개성·해주 일대, SK에너지와 GS칼텍스에겐 신의주와 나선, 현대로템과 두산인프라코어는 강계, 현대모비스와 만도에겐 안주와 평성,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은 원산, 한국도자기는 경성, 동원에겐 신포가 진출에 적합한 지역으로 꼽힌다. 그 이유는…
 

- 더 자세한 내용은 이코노미조선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