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은 경공업·중화학 산업 기지, 南은 첨단 지식·금융산업 중심
동북3성은 中과 교역 통로역할
한반도가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로 통합되면 남북한과 동북 3성의 재중 동포가 참여하는 8000만명 규모의 한민족 경제권이 뜰 것으로 예상된다. 남한의 자본·기술과 북한의 자원·노동력이 결합되는 효율적 분업 체제를 기초로 중국·일본에 이어 동북아에 제3의 거대 시장이 생기는 것이다.

한국어를 쓰는 한민족 경제권은 2030년 남북한 인구 7650만명에 동북 3성의 재중 동포 185만명을 합쳐 7830여만명 규모로 예측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인구가 7000만명을 넘으면 내부적으로 생산·소비·투자가 연쇄적으로 올라가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고 했다. 남한 정부와 기업이 북한에 대규모 인프라와 설비투자를 하게 되면 북한의 산업과 고용, 소득이 늘어나고 이것이 다시 소비·투자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더구나 한민족 경제권은 같은 언어와 문화·역사를 가졌기 때문에 통합의 효과는 EU보다 훨씬 클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경제 통합 과정에서 북한은 경공업과 중화학 산업의 신생산 기지로, 남한은 첨단 지식·기술 산업과 서비스·금융 산업으로 특화하는 '남북 분업 시스템'이 갖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동북 3성은 중국의 대북 투자 및 남북의 중국 진출 통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은 "북한은 섬유·의류·기계·화학 산업 분야에서 숙련된 인력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해외로 나갔던 남한의 기업이 대거 북한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윤덕룡 선임연구위원은 "남한의 산업 생산에 필요한 광물의 절반만 북한에서 값싸게 조달하면 연 154억달러의 수입 대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했다. 북한이 중국·한국·일본·러시아와 인접해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글로벌 아웃소싱 생산 기지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는 2010년 19억달러에 그쳤던 남북 교역은 2030년엔 556억달러로 급증, 북한 GDP(979억달러)의 57%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