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북한에 사실상의 마지막 회담이 될 7차 회담을 제의한 가운데 북한이 이를 수락할 지 주목된다. 사진은 지난 22일 5차 회담이 끝난 후 우리 측 김기웅 수석대표(왼쪽)와 박철수 북한 측 수석대표(오른쪽)가 악수하는 모습. /조선DB


정부가 북한에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7차 실무회담을 열 것을 제의했다. 지난 여섯 차례 회담에서 좀처럼 양 측이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한 가운데 정부는 이번에도 실마리를 풀지 못할 경우 '중대한 결심'을 할 수도 있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사실상 마지막 회담 제의가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29일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판문점 연락 채널을 통해 북한에 7차 개성공단 정상화 관련 남북 실무회담을 갖자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실무회담의 구체적인 날짜와 장소는 제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후 4시까지 북한 측은 우리 측의 회담 제의에 대해 별다른 회신을 보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일부 대북 전문가들은 북한이 회담 제의를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미 여섯 차례에 걸쳐 진행된 회담에서 최대 쟁점이 돼 온 '가동 중단에 따른 책임 표명과 재발방지'에 대해 의견을 좁히지 못했는데, 7차 회담에서도 우리 정부가 재발방지를 최우선으로 요구하고 있어 북한이 다시 협상 테이블에 나올 명분이 적다는 이유에서다.

우리 정부는 지난 28일 열린 류길재 통일부 장관의 긴급성명에서 "북한이 개성공단 사태 재발방지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한데 이어 이날 가진 통일부 대변인 브리핑에서도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위해 북한이 다시는 입주기업들의 통행을 제한하거나 근로자들의 일방적인 철수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확실히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부에서는 북한이 어떤 형식으로든 다시 우리 측의 회담 제의에 응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 북한이 줄곧 개성공단의 신속한 정상화를 요구할 만큼 공단의 재가동을 절실히 원하고 있는 데다, 만약 우리 정부의 제안을 거부해 개성공단이 실질적 폐쇄 수순을 밟을 경우 이에 대한 최종 책임이 북한에 쏠리는 부담을 가질수도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북한이 우리 측의 회담 제의를 거부할 경우 개성공단은 폐쇄 조치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우리 정부가 사실상 공단 폐쇄를 의미하는 '중대 조치'를 내릴 수도 있다고 예고한 만큼 북한의 회담 제의 거부 이후에는 입주기업들에 대한 경협보험금 지원을 시작으로 공단을 청산하는 절차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개성공단 정상화 회담을 둘러싸고 남북 양 측이 치열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입주기업들은 초조하게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공단 폐쇄를 염두에 두고 해외에 생산기지 이전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는 "공단의 기계와 설비의 녹이 심해 제대로 가동이 힘들어진 데다 겨울옷을 생산할 시기도 놓쳐 지금 공단이 재가동 된다고 해도 큰 손실을 피하기 힘들어졌다"며 "공단 정상화가 가장 필요한 조치지만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 기업들을 위한 지원방안도 논의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조선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