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대표단, 통일부 발표 시청


정부가 '개성공단 철수'라는 강수를 둠에 따라 공단 입주기업들의 피해액이 가시화 될 전망이다. 특히 입주 기업과 관련된 협력업체의 피해액과 무형의 손해까지 포함하면 최대 10조원이 넘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통일부는 26일 개성공단 장기화 사태와 관련해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 제의를 북한이 거부한 것과 관련 우리 측 체류인원을 전원 철수키로 결정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이날 정부성명 발표를 통해 "북한의 부당한 조치로 개성공단에 체류하는 국민의 어려움이 더 커지고 있어 국민 보호를 위해 잔류 인원 전원을 귀환시키는 불가피한 결정을 내리게 됐다"고 밝혔다.

이 같은 정부의 결정에 개성 공단에 입주하고 있는 123개의 기업들은 유·무형 피해를 볼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우선 정부와 기업이 공단 조성을 위해 투자한 설비비용 1조원이 그대로 날아가게 된다. 당장 대기업 등에 물건을 납품해온 공단 내 기업들은 당장 생산에 차질을 빚을뿐더러 대기업이 납품 비중이 큰 회사는 존립마저 위험해질 수 있다. 지난해 개성공단의 연간 생산액은 4억6950만 달러(약 5164억원)다. 기준으로 단순 추산한다면 하루 가동 중단으로 128만 달러(약14억2144만원)의 생산차질을 빚게 된다. 조업이 중단된 지 18일을 감안하면 현재 255억원 정도의 피해를 얻고 있다.

개성공단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공단 생산액의 약 80%는 의류 봉제업체들이 차지한다. 미리 여름옷을 만들어 한창 팔아야할 의류 성수기에 공장이 멈춰서면서 한 분기의 매출을 날리게 생겼다.

따라서 단순히 공장을 가동하지 못하는 피해액 뿐 아니라 분기 전체 매출을 손해 볼뿐더러 납품을 받는 대기업이나 원자재를 공급하는 2차 협력사들의 피해도 매우 클 전망이다.

이에 개성공단 가동으로 현재까지 입주기업과 바이어들, 협력 업체들의 피해액은 6조에 다다를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원자재를 납품하는 5000여개 협력업체의 간접 피해액까지 포함한다면 10조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보이지 않는 피해도 크다. 천안함·연평도 사건 때도 개성공단은 꾸준히 유지되면서 남북 간의 긴장을 완화 시켜주는 완충역할을 했다.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도 개성공단이 유지되면서 다소 위협이 줄어들기도 했다.

하지만 공단이 폐쇄되면 남북의 긴장 관계는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이로 인한 외국 투자자들의 투자 제한 등 보이지 않는 피해도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다.




/뉴시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