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16일 우리 측에서 전달한 이산가족 방문단 후보자 200명이 만나길 희망하는 재북(재북) 가족들을 어떻게 찾을까.

북한은 1998년 2월 인민보안성(당시 사회안전부·경찰)의 각 지역 분주소(파출소에 해당)에 ‘주소안내소’를 설치해 ‘흩어진 가족’ 찾기 사업을 벌여왔기 때문에 이번에도 이 경로로 이산가족 생사·소재 확인작업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황장엽(황장엽)씨를 비롯한 고위층 출신 탈북자에 의하면, 북한당국은 이산가족 리스트를 작성해 놓고 있다고 한다.

북한은 1960~70년대 주민 성분조사 과정에서 월남자 가족들을 ‘적대계층’으로 분류해 별도 관리해왔다는 점에서 남한의 이산가족 방문단 후보자 200명이 만나길 희망하는 북한의 가족들을 찾는 것은 그리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정부 당국자들은 지적했다. 그러나 아직 전산망이 갖춰져 있지 않고, 최근 몇 년 동안 식량난으로 주민 이동이 많아 주소지에 찾고자 하는 사람이 그대로 살고 있는지 의문이란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생사·소재 확인 대상자가 북한 내부 법규상 문제가 있는 사람일 경우 확인작업에서 제외될 가능성도 있다. 뿐만 아니라 16일 북측에 보낸 후보자 200명 중 정치적인 이유로 일부 이산가족의 방북을 허용하지 않기 위해 생사·소재 파악작업을 아예 벌이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김인구기자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