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테러 전쟁을 계기로 북한의 중동지역 일부 국가들에 대한 전략무기 수출이 위축될지도 모른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은 지난 90년대 중반들어 미얀마, 베트남, 앙골라, 우간다 등 동남아시아 및 아프리카 국가들로 시장 다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나, 이란, 이라크 등 중동지역은 여전히 북한의 주요 무기시장으로 꼽히고 있다.

한국국방연구원(KIDA)의 한 관계자는 23일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공격을 계기로 테러지원국으로 분류된 국가들에 대한 무기판매가 국제적인 규제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북한제 무기도 예외는 아닐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유엔 등 국제기구는 테러지원국으로 분류돼 있는 국가들의 무기 거래를 엄격히 규제하는 새로운 규약을 마련할 가능성도 있다는 이 관계자의 분석 등을 감안하면 북한의 불투명한 무기수출 행위는 크게 제약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97년 이후 매년 평균 6천여만 달러 상당의 무기를 수출하고 있으며, 주로 미사일 부품과 기관총, 야포, 탄약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수출 규모는 공식적인 상거래에 따른 추정치로, 외화벌이 차원에서 비공식적인 채널로 이뤄지고 있는 것까지 감안할 경우 훨씬 클 것이라는게 국방부측의 분석이다.

수출 대상국은 테러지원국의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 중동국가를 비롯해 미얀마, 우간다, 앙골라, 에티오피아, 베트남, 태국 등으로 다변화 추세에 있는 실정이다.

특히 중동국가들에 대한 무기 커넥션은 장.단거리 미사일에서 최근에는 수중추진기 등 해양 정밀무기로까지 확대되고 있어 국제사회의 곱지않은 시선에 직면해 있다는게 관계당국의 지적이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미국은 테러참사 이후 북한이 반테러 입장을 공식 표명하고 나섰지만, (북한을)테러지원국에서 제외시킬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앞으로 무기거래 등 군사부문에 있어 북한의 대외관계를 더욱 주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