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2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 마련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러시아 정부는 강력한 대응은 필요하지만, 북한을 고립으로 이끌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비탈리 추르킨 유엔주재 러시아 대사는 2일 러시아 정부 기관지인 로시스카야 가제타와 인터뷰에서 "북한의 핵실험을 용납할 수 없다는 점에서 (안보리) 결정은 강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강력히 대응하더라도 장래 한반도와 역내 안정을 공고히 하려면 북한을 국제사회에서 완전히 고립하는 방향으로 가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핵 비확산 체제를 위협한 행위에 대한 타깃 제재가 필요하며 결의안은 반드시 한반도 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의 신속한 재개를 목표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런가 하면 나탈리아 티마코바 러시아 대통령 공보실장은 이날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북한 문제에 대한 러시아 지도부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며 "러시아는 최근의 상황에 우려하고 있고 상황 악화를 막기 위한 유엔 틀 내에서의 조치(결의안)가 필요하다는 데 일관된 뜻이 있다"고 말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이명박 대통령과 전화통화에서 "국제사회가 북한의 도발행위에 강하게 대응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러시아는 한국을 비롯한 관련국들과 유엔 안보리에서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러시아는 이번 북한의 2차 핵실험을 2006년 채택된 유엔 안보리의 대북 결의 1718호 위반으로 규정하고 강한 유감을 표명하면서 이례적으로 강경한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하지만, 새 결의안이 북한을 고립으로 이끌면 사태가 악화할 수 있다면서 신중한 접근을 동시에 촉구하고 있다.

한편, 미국,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과 한국, 일본 등 주요 7개국(P5+2)은 1일 북 핵실험 후 네 번째 협의를 했지만, 결의안 마련에 실패하는 등 진통을 거듭하고 있다.

관련국들은 추가 자산 동결, 북한 관리의 여행 금지 확대, 광범위한 무기 금수 조치, 북한을 오가는 선박에 대한 검색 강화 등의 제재에 대해 협의 중이지만 중국과 러시아가 일부 제재 방안에 반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