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남북협력팀장./주완중 기자 wjjoo@chosun.com

북한이 지난달 5일 장거리 로켓을 발사했고 25일엔 2차 핵실험을 했다. 핵무기 개발 등 북한의 과학기술 능력 전반에 대해 10년 넘게 연구해온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남북협력팀장을 27일 인터뷰해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에 대한 평가를 들어봤다.

과학자이자 북한문제 전문가인 이 팀장은 “북한이 5~10년 내에 소형핵탄두를 탑재한 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2차 핵실험의 폭발력에 대한 추정치가 5~20㏏까지 제각각이다.

“핵실험 위력은 리히터 지진계에서 나온 기록을 토대로 산정한다. 똑같은 위력이라도 지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화강암에 수분이 있는 지형에선 진도가 더 크게 나온다. 여러 추정치를 비교해볼 때 4~5㏏(1차 핵실험 때는 0.8kt) 정도가 적정한 평가인 것 같다.

전문가들은 플루토늄 5㎏으로 실험했을 때 위력이 15~20㏏ 나와야 안정적인 기술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본다.”

현재 북한의 핵무기 능력은 어느 정도라고 평가하나.

“3400㎞를 날아가는 중거리 탄도미사일과 4~5㏏ 위력의 핵무기를 만든 셈이니 전술 핵무기를 배치할 수준은 됐다. 그러나 핵물질 보유량은 30~50kg 정도로 제한적이란 한계가 있다.”

북한이 소형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개발하기까지는 시간이 얼마나 걸릴 것으로 보나.
“5~10년은 걸릴 것이다.

중국이 1960년대 중반 중거리 미사일 ‘동풍4호’를 개발했고, 1970년 인공위성을 발사했다. ICBM은 1965년에 개발을 시작해 1975년에 완성됐다. 중국은 중거리와 장거리를 병행해서 개발했다.

중거리 미사일을 생산할 때 장거리는 이미 설계에 들어간 상태였다. 북한이 1998년 대포동 1호(사정거리 1800~2500㎞)를 시험발사하고 지난달에 중거리 미사일에 성공한 셈인데, 중국 사례를 감안하면 북한은 더 빨리 그 단계에 도달할 수 있다.”
북한의 핵무기 소형화는 얼마나 빨리 진전될 수 있을까.

“핵무기 개발 순서는 폭탄의 크기와 상관없이 일단 폭발을 시켜서 15~20㏏까지 위력을 발휘할 수 있게 만든 다음 크기를 줄여나간다. 핵물질도 압축시켜야 하고 더 정교한 기폭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어려운 과정이다. 북한이 위력 면에서 첫 단계를 완전히 넘었다고 보긴 어렵지만 어느 정도는 접근했기 때문에 이젠 경량화를 추진할 것이다.”

추가 핵실험 가능성은?

“다른 나라의 경우 비슷한 조건에서 대여섯 번 연속하는 경우가 많았다. 조금씩 다른 조건을 만들어 최적의 상태를 알아내기 위해서다. 북한은 지난번 핵실험 결과를 기초로 이번에 좀 더 개량이 가능했을 것이다. 그러나 핵물질이 많지 않기 때문에 계속 시도하긴 어려울 것이다. 정치적으로도 이미 충분한 효과를 봤다.”

북한은 우라늄 농축 방식의 핵개발 가능성도 경고했는데.
“쉽지는 않을 것이다. 북한이 시도할 원심분리법은 첨단기술과 설비를 필요로 하는데 국제사회가 관련 자재를 철저하게 통제하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10~20년 걸려 할 각오로 한다면 못 할 것도 없다. 또 개발을 못 해도 원심분리기 100개 정도 만들어 늘어놓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그 앞에서 사진을 찍어 내보내면 국제사회가 당장 요동칠 것이다. 이란 대통령도 원심분리기 앞에서 찍은 사진으로 국제사회를 경악하게 했다.”

북한이 또 다른 벼랑 끝 전술을 구사한다면 무엇이 있을까.
“무게는 비슷하지만 폭발력은 없는 비활성 탄두를 얹은 중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태평양을 향해 쏠 수밖에 없을 텐데 북한이 아무리 훈련탄이라고 주장해도 일본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
/강인선 기자 insun@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