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통일맞이'가 문익환 목사 15주기 추모 및 방북 20주년을 기념해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31일 오후 개최하는 심포지엄에선 진보진영이 주도하는 통일운동에 대한 자성론도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이남주 성공회대 교수는 미리 배포한 발제문에서 "통일운동은 평화라는 가치를 더욱 적극 내세울 필요가 있다"며 북한의 핵시험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분명하게 하고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해서도 '시정'을 요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또 지난 10년간 통일운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중성을 얻지 못했다며 "통일운동이 통일지상주의나 통일우선론을 추구하고 있다는 인상을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남북 정부간 관계가 악화되고 전환점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상황을 반전시키는 역할이 민간의 통일운동에 주어질 수 있다"며 "20년전 문익환의 방북이 통일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던 것처럼 현 시기 통일운동도 정파적 이해를 뛰어넘어 민족적 화해와 단결을 실현시킬 수 있는 방도를 들고 나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단기적으로는 남북간 정세 악화를 막기 위해 "남한 정부의 대북정책이 대화협력 정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정부에 대한 투쟁성만 강조하는 방식으로는 정세전환을 이뤄내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가 남북관계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가능성을 포기하지 말고 그러한 전환을 할 수 있는 상황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도 전개해야 한다"며 지난 16일 출범한 '남북관계 위기 타개를 위한 비상시국회의'도 종교계 등의 원로들 및 보수 정치인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권인숙 명지대 교수는 '평화운동의 발전을 위하여'라는 제목의 발표문에서 "통일이 연착륙하지 않고 분규와 갈등이 증폭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때 남북한 사회에 있는 `군사화된 민족주의'적 특성은 사태를 더 극단으로 악화시켜 위험하게 발전시킬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한국 사회에 대해 "특이할 정도로 징병제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나라로서 "국가중심적 군사주의가 강한 동시에 저출산에 대한 대안으로 이민 확대 등을 누구도 얘기하지 않을 정도로 혈통적 고집이 강한 사회"라고 진단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러한 사회적 특성에는 이질성에 대한 혐오, 폭력적 문제 해결 방식에 대한 신뢰, 개인을 부속화시키는 집단주의적 문화가 있다며 이로 인해 갈등이 쉽게 내전화, 폭력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