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과 국제언론단체인 '국경없는기자회(RSF)'가 국내 민간 대북방송 세 곳에 앞으로 3년간 총 4억원의 재정지원을 한다.

이를 위해 국경없는 기자회의 장 프랑소와 쥬이아 사무총장과 자유조선방송(공동대표 한기홍, 이광백), 열린북한방송(대표 하태경), 자유북한방송(대표 김성민) 3사 대표들이 24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협약식을 갖는다.

대북방송 대표들은 협약식후 대북 방송 효율화를 위한 토론회도 열어 정부가 민간 대북방송측에 국내 주파수를 배정해 국내 송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 민간 대북방송들은 해외의 송신국을 통해 라디오 방송을 하고 있어 전파 사용료 등 비용이 많이 들고 전파 세기도 약하다며 정부의 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나 정부는 남북관계 악화를 우려해 직접 지원을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유조선방송 이광백 공동대표는 토론회 자료에서 "북한 내부에서 변화와 개혁의 요구가 일어나도록 하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외부 소식을 북한 주민들에게 전해 북한 주민 스스로 북한 사회의 문제점이 무엇이고 나아가야 할 길은 어디에 있는가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며 "이를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대북 라디오 방송"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는 김정일 정권을 북한의 정부 당국으로 기본적인 예우를 하되 거리를 두는 한편 김정일 정권을 비판하고 변화를 강제하는 정치사상전은 대북 라디오 방송 등 민간단체가 맡는 역할분담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열린북한방송의 하태경 대표는 "민간 대북방송을 강화할 경우 예상되는 북한의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먼저 남북간 완전한 방송개방을 선언하고 그 1단계 조치로 북한의 대남방송에 대한 전파방해의 중단을 일방적으로 선언"할 것을 제안했다.

하 대표는 "북한은 대남 공작을 모두 인터넷을 통해 하고 있고 남한에서 북한의 대남방송을 듣는 사람도 거의 없는 만큼 북한의 대남방송에 대한 전파방해는 실효성이 없다"며 이를 중단하고 거기서 남는 자금을 민간 대북방송에 대한 지원에 사용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현재 대북 방송이 가능한 주파수(단파)도 4개나 비어 있어 정부의 의지만 있다면 국내 송출이 가능하다며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4월 미국 방문 때 미 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민간 대북방송의 국내 송출을 허용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그 약속이 이행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내 민간 대북방송은 이들 3 곳외에 북한개혁방송, CMI 광야의 소리 등이 있으며 대부분 영세한 수준으로 열린북한방송을 제외하면 모두 탈북자들이 만들어 운영한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