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외무성이 10일 `미사일 시험발사 유예조치'가 재고될 수 있음을 밝힌 것은 북한의 미사일 문제가 한층 복잡해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담화에서 일본의 로켓 H2A 발사(8.29)에 대해 `엄중한 사태'라고 우려를 표명하면서 '위성발사 중지와 관련한 우리의 입장을 부득불 고려해보지 않을 수 없게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99년 9월 북한 당국이 북ㆍ미 관계 개선에 따라 미사일 시험발사 유예조치를 표명한 이후 현재까지 지켜져 오던 북한 미사일 문제가 북ㆍ미 문제에서 벗어나 북한과 미국, 북한과 일본 등 3자간의 문제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H2A 발사 직후인 이달 3일 이뤄진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간의 회담에서 미사일 시험발사 유예방침이 거듭 표명됐던 것으로 알려진 상황에서 이를 뒤집는 외무성 대변인 담화가 나왔다는 점은 북한이 일본의 로켓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시사하는 대목이다.

북한은 미사일 개발을 `자주적 권리'라고 강조하면서 '우리 미사일은 우리를 목표로 삼고 위험한 미사일 발사에 매달리는 일본과 그를 적극 뒷받침해 주고 있는 일부 나라들에까지 아량을 베푸는 것이 아니다'고 경고해 왔었다.

아직까지는 경고 차원의 성격이 짙지만 북한 외무성 대변인이 미사일이라는 용어 대신 `위성발사 중지와 관련한 우리의 입장'으로 표시한 점 역시 로켓 `백두산1호'를 이용해 인공위성 `광명성1호'를 쏘아올렸던 지난 98년 8월말의 상황이 재현될 가능성도 있음을 보여준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도 지난 3일 논평에서 일본의 로켓 H2A가 북한을 겨냥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를 절대로 수수방관할 수 없다'고 주장했었다.

북한이 북ㆍ미 관계에서 간혹 내놓고 있는 미사일 시험발사 유예방침 철회라는 `경고성 카드'를 북ㆍ일 관계에까지 확대 적용한 것은 이 카드가 북한과 미국, 북한과 일본간의 관계개선을 유도하기 위한 단순한 제스처가 아닐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