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당부문 단위기관의 편제와 위상이 책임비서, 조직비서, 선전비서, 근로단체 비서의 순서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김영수 서강대 교수는 9일 발간된 「북한연구학회보」에 기고한 `북한 통신망에 나타난 정치사회적 의미:전화번호책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북한의 당 부문 단위기관은 전화번호부에 조직부, 선전부, 근로단체사업부,교육사업부의 순으로 전화번호가 배열돼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지난 95년 8월 북한에서 발행된 `전화번호책'에 실린 3만6200여개의 전화번호를 분석한 이 논문에서 '행정기구의 경우 상임위원장, 상임부위원장, 서기장, 당비서, 법무부, 총무부, 표창 및 신소책임지도원실, 기요지도원실, 문헌지도원실 등으로 전화번호가 실려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북한 기업체의 전화번호는 공장 당비서, 조직부비서, 선전부비서, 당지도원, 공장지배인(사장), 기사장의 순서'라고 전했다.

그는 '북한은 유무선 전신 및 전화를 포함하는 전기통신 분야에 대한 국가 차원의 개발과 투자 유치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전화번호부 자체를 비밀로 분류하는 등 개인별 접근에 대한 통제가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면서 '인터넷사업이 남북경협 차원에서 수용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이어 '북한의 전화번호부를 통해 당 중심적 편제 및 체제운영 방식, 평양 중심형 중앙통제 방식 등 북한의 정치 사회적 특징을 읽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