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외국 정상과의 회담을 `정상회담'이라고 부르지 않고 `단독회담', 또는 `회담'이라고 한다.

중국 신화통신이 지난 3일 있었던 김 북방위원장과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간의 회담을 '정상회담'이라고 하지 않고 단순히 `회담'으로 표현한 것 처럼 조선중앙방송 역시 `단독회담', `회담'으로 표현했다.

북한측의 이러한 보도 관례는 지난해 6월 남북 정상회담 이후 이어지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6월 13일 열린 김대중 대통령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간의 공식면담을 `최고위급 회담'이라고 표현한 반면 이튿날 있었던 김 대통령과 김 국방위원장간의 정상회담을 `회담', `단독회담'이라고 불렀다.

지난해 7월과 올해 8월 평양과 모스크바에서 잇따라 열린 김 국방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나, 지난해 5월과 올해 1월 김 국방위원장의 중국 비공식 방문때 열린 장 주석과의 정상회담 역시 `회담', `단독회담'으로 보도됐었다.

북한 언론이 김 국방위원장이 직접 나서는 외국 정상간의 회담은 `회담' 또는 `단독회담'으로, 김영남 상임위원장이 참석하는 외국 정상간의 회담는 `최고위급 회담'으로 표현하는 것은 북한헌법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 헌법상 국가를 대표하는 직책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인 반면 국방위원장은 `국가주권의 최고군사지도기관이며 전반적 국방관리기관'인 국방위원회 책임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김 국방위원장이 현 직책에 취임할 당시인 지난 98년 9월 양형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은 국방위원장을 '나라의 정치, 군사, 경제역량의 총체를 통솔 지휘하며 사회주의 조국의 국가체제와 인민의 운명을 수호하며 나라의 방위력과 전반적 국력을 강화발전시키는 사업을 조직영도하는 국가의 최고직책'이라고 강조하면서도 국가를 대표한다고는 명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비록 국방위원장이 명실상부한 북한의 최고직책일지라도 헌법에 이를 국가대표기관으로 명문화하지 않는 한 김 국방위원장과 외국 정상간의 회담에 `최고위급회담'이라는 용어를 갖다 붙이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쓰는 `단독회담'과 `회담'은 `정상회담', `확대정상회담'으로 봐도 무방하다는 지적이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